아동복지론

[아동복지론 14주] 아동복지의 과제와 전망

느티나무숲 2021. 10. 29. 12:00

1. 아동복지의 과제

  1) 보편적 서비스의 확대

    ① 사회적 투자라는 아동정책의 방향성을 유지 및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아동정책의

        방향을 보편적 서비스로 설정되어야 함

    ② 복지국가 접근으로 국가가 그 원인이 어디에 있든 간에 빈곤아동, 장애아동의 

        문제에 대응하여 보편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의무가 있음

    ③ 양육지원체계의 활성화 : 아동수당제의 도입 현실적 확대

    ④ 보편적 아동복지 서비스 확대 방안 : 육아휴직제도 정비

    

  2) 사회적 안전망의 내실화

    ① 아동이익 최우선 원칙이라는 관점하에 아동에 대한 각 기관의 보호를 체계적으로

        조정하고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전문기구가 필요함

    ② 방과후 서비스의 체계화

      - 보호가 필요한 초등학생 아동이 성장하여 청소년기에도 지속적인 보호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체계의 연속성이 필요

    ③ 교육복지의 확대

      - 입시위주의 교육환경은 각종 교내 문제가 발생하고 있기에 이를 체계적으로 개입할

        제도와 법적인 체계가 미흡함

 

  3) 아동정책 추진 기반의 조성

    ① 아동정책 예산의 확보

    ② 전문인력의 양성

    ③ 아동전담 행정기구의 설립

    ④ 아동정책조정위원회의 정책조정기능의 강화

    ⑤ 아동대상 종합 연구기관의 설립

    ⑥ 아동복지 관련법 부문 정비

       - 가족보존과 가족복지의 강화

       - 아동학대 규정의 강화

       - 아동복지지도원의 신분 보장 및 자격기준 강화

       - 공동생활가정 지원 강화

       - 지역아동센터 지원 강화

       - 저출산 극복과 건강가정기본법의 현실적 정책 보완 개정

    ⑦ 아동복지서비스 부문 정비

       - 일반아동을 위한 서비스 개발

       - 보호가 필요한 아동을 위한 서비스 개발

    ⑧ 아동복지행정 부문 정비

       - 아동복지 전달체계 및 재정

       - 아동복지시설과 종사자의 현실화

 

 

 

 

 

2. 아동복지의 전망

  1) 아동복지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적용

    ① 최근 아동복지의 개념은 과거의 자선적, 인도적 사고와는 달리 좀 더 국가 발전에

       호응하는 이념으로 발전하고 있음

    ② 잔여적, 보편적 관점의 두 가지 패러다임이 함계 통합되어야 함

 

  2) 다양한 아동복지 프로그램과 서비스의 개발

    ① 오늘날 아동복지의 대상은 특수아동으로부터 일반 아동에 이르는 모든 아동을

        포함하고 있음

    ② 일반아동의 경우에 있어서도 그들의 건전한 성장, 발달을 위하여 다양하고 적절한

        프로그램과 서비스를 계속 개발해야 함

    ③ 자신이나 자기 주위 환경에 문제가 발생한 아동에 대한 문제 해결의 방안을

        널리 연구, 개발해야 할 것임

 

  3) 지역사회 중심의 아동복지

    ① 국가가 모든 국민의 요구나 생활을 보장하거나 책임지기 어렵다는 측면에서 일정한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자치적으로 지역 주민의 생활권 보장과 지방의 균형적인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복지 시스템을 확립시켜 나가야 함

    ② 지지적 서비스(supportive service)의 강화를통해 아동과 가족의 문제를 사전에

        예방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음

 

  4) 사회복지사로서의 아동복지 전문적 실천방향

    ① 아동복지사업의 전문성을 위해 사회복지사는 가정과 아동의 보호와 권익을 유지

        개선하는 역할을 지속적으로 수행해야 함

    ② 이를 위해 사회복지사는 아동복지사업을 공공과 민간기관의 협력을 도모해야 하며,

        균형있는 조화를 도모해야 함

 

 

2021. 9.  서울 마포구  어저귀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