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개론

[사회복지개론 1주] 사회복지 욕구와 사회문제, 개념의 이해

느티나무숲 2021. 11. 4. 12:00

1. 사회복지와 욕구

  1) 사회복지

    ① 사회복지의 출발 : 욕구와 사회문제

    ② 사회복지의 효과적 실시를 위한 전제

      - 정확한 욕구조사와 사회문제의 정의가 전제됨

      - 욕구 사회문제 사회복지의 과정으로 진행됨

      - 욕구와 사회문제는 상호 밀접하게 관련됨

     ③ 사회복지의 효과적인 실시

      - 국민의 정확한 욕구와 사회문제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함

 

  2) 욕구

    ① 사회복지의 보호와 원조를 필요로 하는 상태

    자력으로 생활의 유지 및 향상을 기여할 수 없는 상태를 말함

    ③ 가족 또는 시장메커니즘을 통해서 해결할 수 없음

 

  3) 욕구의 유형

    ① 생리욕구 : 인간이 가지고 있는 가장 기본적이고 생물학적 욕구

    ② 안전욕구 : 개인의 환경 내에서 안전, 평정 등으로 보장받고자 하는 욕구

    ③ 사랑욕구 : 한 집단 내에서 타인과의 애정적인 관계와 사회적 관계 등을 갈망

    ④ 존경욕구 : 사회적으로 사랑을 받고 또한 사랑하는 욕구

    ⑤ 자아실현욕구 : 자신이 성취할 수 있는 모든 것을 완성하려는 욕구

 

  4) 욕구의 변화

    ① 정형적인 욕구가 상대적으로 감소되고 비정형적인 욕구가 많이 발생

    ② 복지욕구의 지역성으로 지역적 상황에 따라 욕구가 달라짐

    ③ 욕구충족의 방식의 변화로써 단순한 행정기관에 의해서 현대사회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없고, 다양한 공급체계를 확립해야 함

 

 

 

2. 사회문제

  1) 사회문제의 정의

    ① 사회변동에 따라 사회, 경제, 문화의 구조적 모순에 의해 발생

    ② 근대시민사회의 경제적 미조정을 기반으로 하여 발생

 

  2) 사회문제의 유형

    ① 유아학대, 유기

    ② 가정 내 폭력

    ③ 가출

    ④ 부모로서의 역할 포기

    ⑤ 세대 간의 단절

    ⑥ 이혼 등 가족의 병리, 해체

    ⑦ 자살

    ⑧ 비행문제

 

 

 

 

3. 사회복지의 개념

  1) 일반적 개념

    ① 목적적 개념 

      - 당위개념

      - 일반의 정책목표로서 이와 같은 정책이나 제도가 실현하고자 하는 목적

    ② 실체적 개념

      - 행위 또는 제도 및 정책 그 자체

      - 현실에 존재하는 실체 개념으로 사용되는 경우

 

  2) 사회복지 관련 개념

    ① 사회보장 : 국민이 그의 생활에서 소득의 중단 또는 영구적 상실 및 질병과

          부상 등 생활상의 곤란에 대하여 국가가 국민의 생존권의 실현을 위해 

          소득의 재분배를 통하여 국민의 최저생활 확보를 전제로 그의 소득보장을 

          도모하는 총체적인 국가정책

    ② 인간서비스

      - 미국에서 흔히 사용되는 개념

      - 공중보건, 정신건강, 사회서비스, 및 재활서비스 등으로 인간의 복지증진을 위한

        한층 포괄적이고 종합적 활동

    ③ 대인서비스 

      - 영국에서 많이 사용되는 용어

      - 국민들 중에서 특수한 사람들의 욕구 충족을 위해 제공되는 것

      - 특수한 사람들 : 노인, 신체적 정신적 장애인 및 아동

 

  3) 사회복지의 실천적 개념

    ① 헌법상의 사회복지 개념

      - 우리나라 헌법 제 34조

      - 사회보장과 구별되는 용어로 사용

      - 사회보장을 제외한 제반 사회적 서비스를 총칭하는 개념

    ② 사회복지의 행정적 개념

      - 경제기획원의 예산편성에서 그 범위가 드러남

      - 사회보장이 사회복지의 상위개념으로 사용

      - 정부의 행정적 관용에서 주로 사회개발로 사용되는 경향

 

  4) 사회복지의 관점

    ① 잔여주의와 제도주의

       - 잔여주의 : 욕구가 예외적인 것, 문제의 상황이 긴급하고 위급

       - 제도주의 : 욕구가 산업화로 인해 생기는 것, 현대생활의 복잡성 속에 잠재해 있음

    ② 선별주의와 보편주의

       - 선별주의 : 사회복지 대상자들을 사회적, 신체적, 교육적 기준에 따라 구분하여

            복지 서비스를 제공, 재산조사를 통해 원조가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사람들

       - 보편주의 : 전 국민을 사회복지의 대상자로 삼음, 복지수혜 자격과 기준 균등화 

 

 

 

4. 사회복지의 목적과 기본 원리

  1) 사회복지의 목적

    ① 인간다운 생활의 보장

    ② 대인서비스의 증진

    ③ 소득재분배

    ④ 사회적 통합

 

  2) 사회복지의 기본 원리

    ① 보험의 원리

    ② 보상의 원리

    ③ 부조의 원리

    ④ 원조의 원리

 

 

2021. 5  서울 강북구  만첩빈도리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