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행동과 사회환경 2주] 정신역동이론 01
1. 정신분석이론의 특징
1) 인간관
① 비합리적인 무의식적 본능을 지배를 받는 존재임
② 초기 아동기에 형성된 기본적 성격구조는 성인기에도 변하지 않음
2) 기본가정과 전제
① 정신결정론
② 무의식적 동기 : 인간행동의 근원은 무의식 속에 있음
③ 에너지를 방출하고 긴장을 감소하고 싶은 개인과 통제를 가하는
사회는 갈등을 겪음
④ 인간 내부에서도 내적 갈등이 생김
3) 프로이트의 연구방법
① 자유연상법
- 환자가 의식 속에 떠오르는 모든 것을 자유롭게 이야기함으로써
무의식을 밝혀내려는 정신분석학적 방법임
- 치료자는 전적으로 수동적인 입장에 있음
② 꿈의 해석
- 꿈은 여러 작용의 원초적 표현이며, 무의식이 전의식을 통해 의식으로
나타난 결과임
- 꿈의 분석을 통하여 환자의 증상이나 갈등의 원인을 이해하도록 도우려 함
③ 전이에 대한 해석
- 부모, 형제 및 다른 사람에게 가졌던 잊어버리고 억압되었던 애정이나
증오 등의 감정이 정신분석 치료 도중에 치료자를 통해 개인의 의식에
되살아나 재생됨
- 환자들은 이전의 관계를 다시 경험하면서 그러한 경험을 안전하게 해소함
2. 정신분석이론의 주요 개념
1) 지형학적 모델
① 인간의 정신을 일종의 지도로 가시화시켜 지형학적인 모형으로 성격의
구조를 설명하려고 함
② 정신의 3가지 수준 : 의식, 전의식, 무의식
③ 의식(Consciousness) : 어떤 순간에 우리가 알거나 느낄 수 있는 모든 경험과 감각
④ 전의식(Preconsciousness) : 어느 순간에 있어서는 의식되지 않으나 조금만,
노력하면 곧 의식될 수 있는 이용 가능한 기억
⑤ 무의식(Unconsciousness) : 인간 정신세계의 가장 깊을 곳에 감추어져 있어
기억하지 못하는 부분
2) 구조적 모델
① 프로이트의 초기 성격구조 이론의 중심이 되는 개념은 무의식적 정신과정이었음
② 인간의 성격 구조 = 원초아 + 자아 +초자아
③ 성격의 3가지 체계 중 어느 것에 에너지를 많이 투여하는가에 따라 성격에 영향
④ 원초아(Id) : 출생할 때부터 작용하는 생득적인 정신 에너지의 근원, 일차과정사고
⑤ 자아(Ego) : 성격의 집행자, 외부 현실과 초자아의 제한을 고려하여 원초아의 욕구를
표현하고 만족시키는 정신기제
⑥ 초자아(Superego) : 사회규범과 행동기준이 내면화한 형태, 초자아의 하위체계
3) 경제적 모델
① 고정된 양의 정신에너지의 배분에 따라 성격이 형성된다고 봄
② 전제 : 인간의 모든 행동은 본능의 지배를 받으며 정신에너지를 발산하고자 함
③ 본능 : 성격의 기초요소, 인간행동을 일으키고 행동의 방향을 결정하는 동기를
유발하는 힘
④ 삶의 본능(Eros) : 생동적인 삶을 가틍케 해주고 종족번식을 책임지는 각종의 힘
⑤ 죽음의 본능(Thanatos) : 인간 행동의 공격적, 파괴적인 힘을 의미함
3. 심리성적 발달단계
1) 구강기(구순기, Oral Stage)
① 출생 후 ~ 생후 18개월 사이의 시기
② 구순이 쾌락의 주요한 원천이며, 입으로 빨고 삼키고, 깨무는 자극을 통하여
쾌감을 얻음
2) 항문기(Anal Stage)
① 생후 18개월 ~ 3세 사이의 시기임
② 항문이 성적으로 가장 흥분되는 신체부위로서 배설물을 보유하거나
방출함으로써 쾌감을 얻음
③ 배변훈련을 통해 처음으로 외부세계로부터 통제를 경험함
3) 남근기(Phallic Stage)
① 만 3~5세 사이의 시기임
② 아동은 리비도적 관심이 새로운 성감대인 생식기로 옮겨감
③ 남근기의 가장 두더러진 갈등 : 이성 부모에게 강한 성적 매력을,
동성 부모에게는 적대감을 가짐
- 남아의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 여아의 엘렉트라 콤플렉스
4) 잠복기(잠재기, Latency Period)
① 6세 ~ 사춘기 전까지의 시기임
② 성적 에너지(리비도)가 무의식 속으로 잠복하는 시기임
③ 리비도는 승화되어 지적 관심, 운동, 동성친구 간의 우정으로 전환됨
④ 새로운 성감대가 나타나지 않고 성적 본능이 수면 상태에 있음
⑤ 본능적인 욕구인 원초아는 약해시고 자아와 초자아가 강력해짐
5) 생식기(Genital Stage)
① 사춘기 시기임
② 사춘기가 되어 생식기관이 발달하고 성호르몬의 분비가 늘어나면서
성적 충동을 현실적으로 수행할 신체적, 생리적 능력을 갖추게 됨
③ 새로이 분출된 성 에너지는 동성의 사람에게로 향하다가 점차
이성으로 옮겨감
④ 프로이트는 사춘기 이후의 발달에 대해 특별히 관심을 보이지 않음
4. 자아의 방어기제
1) 불안
① 현실적 불안 : 위협에 대한 정서적 반응 또는 외적 환경에서 위협을 지각하는 것
② 신경(증)적 불안 : 원초아의 충동이 의식 밖으로 튀어나와 처벌받게 될 어떤 행동을
할 것이라는 위협이 있을 때 발생하는 불안
③ 도덕적 불안 : 자아가 초자아로부터 벌 받을 거라는 위협이 있을 때 발생하는 불안
2) 방어기제
① 불안으로부터 방어하기 위해 사용하는 자아의 무의식적인 기제
② 프로이트가 제시한 방어기제 개념을 안나 프로이트가 체계화함
3) 방어기제의 유형
① 합리화
- 성취되지 않은 욕망에 대해 그럴 듯한 핑계를 대고 현재 상태를 정당화하는 것임
- 신포도형, 달콤한 레몬형, 투사형, 망상형
② 억압
- 가장 기본적인 방어기제로 가장 흔히 사용됨
- 불안을 야기하는 충동 및 기억 등을 의식에 떠오르지 못하도록 무의식적으로 막음
- ex> 기억상실, 어려운 과제가 있을 때 그 과제를 아예 잊어버리는 경우
③ 전치
- 기본적인 성격, 공격적 욕구를 직접적으로 충족시킬 수 없을 때 현실적으로
용납될 수 있는 대상이나 방법으로 바꾸어 욕망을 충족시킴으로써 불안을
회피하는 기제임
- ex> 상사에게 질책을 받은 후 부하직원에게 화풀이 하는 경우
④ 대치(대리형성)
- 정서적으로 아주 중요하지만 심리적으로 수요할 수 없는 대상을 심리적으로
수용 가능한 비슷한 다른 대상으로 무의식적으로 대치하는 기제
- ex> 오빠에게 매력을 느끼는 여동생이 오빠와 비슷한 사람과 사귀는 경우
⑤ 동일시
- 어떤 시람이 다른 사람의 제반 성질을 받아들여 그것들을 자신의 성격의 한
부분으로 합쳐버리는 것임
- ex> 아버지를 무서워하는 아들이 아버지를 닮아가는 경우
⑥ 격리
- 고통스러운 생각이나 기억을 그에 수반된 감정 상태와 분리시키는 것임
- 강박장애에서 흔히 나타남
- ex> 사랑하는 사람과 헤어져 아무렇지도 않게 지내다가 멜로드라마 속의
주인공을 보며 우는 것
⑦ 반동형성
- 무의식 속의 받아들여질 수 없는 생각, 소원, 충동 등을 정반대의 것으로
표현하는 것
- 미움이나 복수심은 애정으로, 애정은 공격성으로 표현하는 경우가 반동
형성에 해당됨
- ex> 속담 '미운 놈 떡 하나 더 준다'
⑧ 취소
- 받아들일 수 없는 자신의 행동의 결과를 철회하기 위해 그로 인해 상대가
입은 피해를 원상 복구시키려는 행동
- 용납할 수 없거나 죄책감을 일으키는 행동, 사고, 감정을 상징적인 방법을
통해 취소하는 것도 포함됨
- ex> 바람피우는 유부남이 아내에게 친절하게 대하는 것
⑨ 내면화
- 애증과 같은 강한 감정을 직접적으로 표현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외부의
대상을 자기내면의 자아체계로 받아들이는 기제
- 투사와 반대되는 유형의 방어기제
- ex> 어머니를 미워하는 것이 자아에 수용될 수 없기 때문에 자신이 나쁘다고
대치하는 것
⑩ 투사
- 개인이 스스로 받아들일 수 없는 충동, 욕망, 자신의 실패 등을 무의식적으로
타인이나 환경의 탓으로 돌리는 것
- ex> 성적 충동을 강하게 억압하고 있는 부인이 남자는 모두 도둑이라고 말하는 것
⑪ 부정
- 엄연히 존재하는 위험이나 불쾌한 현실을 부정함으로써 그로 인한 불안을 회피하고
편안한 상태를 유지하려는 방어기제
- ex> 어머니가 사망했음에도 불구하고 돌아가신 것이 아니라 며칠 동안 다른 곳에
가셨다고 믿는 경우
⑫ 고착
- 발달단계의 어느 한 시기에 고정되어 그 이후의 발달이 중지되고 성숙된 독립이
형성되지 않은 상태
- 불안정, 실패, 처벌 등이 두려워 다음 단계로 발달하지 못하고 초기의 어느 한
단계에 머물러 있는 상태
- ex> 피터팬증후군
⑬ 퇴행
- 실패할 가능성이 있거나 불안한 상황에 대한 해결책으로 생의 초기단계의
행동양식으로 후퇴하는 것
- ex> 아동이 동생이 태어난 후 대소변을 못 가리는 경우
⑭ 승화
- 가장 바람직하고 높은 수준의 방어기제
- 용납될 수 없는 충동을 사회적으로 용납되는 다른 형태로 표출하는 것
- ex> 성적 욕망을 예술작품으로 표현하는 경우
⑮ 보상
- 어떤 분야에서 탁월하게 인정받아 다른 분야에서의 실패나 약점을 보충함으로써
개인의 결함이나 열등감을 극복하려는 심리기제
-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을 동시에 지님
⑯ 전환
- 심리적 갈등이나 부담이 신체적 증상 중에서도 감각기관과 수의근계통의
증상으로 표출되는 것
- ex> 군에 입대하기 싫어하는 사람이 입영영장을 받아보고 시각장애를 일으키는 경우
⑰ 신체화
- 심리적 갈등이 감각기관이나 수의근 이외의 증상으로 표출되는 것
- ex> 시험공부를 너무 못한 사람이 시험 전날 밤부터 복통으로 고생하는 경우
5. 정신분석이론에 대한 평가
1) 공헌
① 20세기의 서구문명에 막대한 영향을 주었으며, 전 인류문명에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침
② 성격발달에 관한 최초의 포괄적이고 과학적인 이론을 정립함
2) 비판
① 인간의 성적발달에 있어서 성적 욕망을 지나치게 강조함
② 인간을 성욕, 과거경험, 무의식에 의해 지배되는 수동적이고 소극적인 존재로
간주하고, 무의식적 충동을 강조하여 인간의 의지르 무시함
6. 정신분석이론과 사회복지실천과의 연관성
1) 정신분석이론의 영향
① 진단주의 학파
② 직선적 원인론
③ 생애 초기 경험의 사정
④ 의료모델 적용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