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상담 및 치료

[가족상담 및 치료 5주] 가계도, 생태도, 가족조각기법

느티나무숲 2022. 3. 8. 12:00

1. 가계도의 개념과 유용성

  1) 개념

    ① 가계도(Genogram)

      - 보웬의 다세대 가족치료 모델에서 다세대의 역동을 살펴보기 위해 개발된 기법

      - 3세대 이상에 걸친 가족성원에 관한 정보와 그들 간의 관계를 도식화

    ② 가족구조와 가족문제는 복잡할 수 있음

      - 도표는 세부적인 자료를 요약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가 됨

    ③ 작성시기

      - 일반적으로 첫 면담에서 가계도가 작성됨

      - 새로운 정보가 나타날 때마다 수정함

 

  2) 유용성

    ① 가족에 관한 정보가 도식화되어 있어 가족의 복잡한 구조와 관계를 한 

        눈에 볼 수 있음

    ② 가족이 경험하고 있는 반복되는 유형들을 확인할 수 있음

    ③ 치료자는 가계도 작성 과정에서 체게적인 질문을 할 수 있고 가족 

        스스로가 공간과 시간을 넘나들면서 다세대적 맥락에서 가족의

        정서과정을 살펴보면서 현재의 가족문제를 볼 수 있게 함

    ④ 가계도를 그리는 과정은 가족치료자와 가족 간에 라포를 형성할 기회를

        제공해 줌

    ⑤ 가계도는 개입을 계획하기 전에 모든 의미 있는 사람들을 포함하도록

        확실하게 도와줌

    ⑥ 세부적인 가족정보가 필요할 때 특히 유용함

 

 

 

2. 가계도 실시 방법

  1) 가계도를 그리는 동안 유의할 점

    ① 상담자는 모든 가족 성원이 참여하도록 격려하며 개입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함

    ② 상담사는 가계도를 그리는 경험이 가족에게 부담스럽게 느껴지지 않도록

        배려해야 함

    ③ 가계도를 통하여 상담자의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어야 함

 

  2) 일반적으로 가계도에 기록하는 사항

    ① 각 가족의 이름, 별명, 가족애칭

    ② 출생, 사망, 질병, 결혼에 관한 정보, 그 외 중요 정보의 날짜

    ③ 각 가족의 종교

    ④ 확대가족과의 접촉 횟수와 접촉 방법

    ⑤ 가족끼리 친밀한 또는 소원한 정도

    ⑥ 정서적 단절의 유무

 

 

 

3. 가계도 면담의 개요

  1) 가계도 면담의 개요

    ① 제시된 문제에 대한 질문

    ② 가족구조에 대한 질문

    ③ 부모의 출생가족에 대한 정보 수집

    ④ 조부모 세대에 대한 질문

    ⑤ 문화적 배경이나 출신국가에 대한 질문

    ⑥ 가족관계에 대한 탐색

    ⑦ 주요 생활사건에 대한 질문

    ⑧ 성역할 태도에 대한 질문

    ⑨ 가족역할에 대한 탐색

    ⑩ 가족의 강점에 대한 탐색

    ⑪ 개인의 기능에 대한 탐색

 

 

 

4. 가계도를 그리기 위해 탐색할 정보들

  1) 가계도를 그리기 위해 탐색할 정보들

    ① 중심인물, 자녀, 배우자

    ② 원가족

    ③ 부모의 가족

    ④ 이사

    ⑤ 다른 중요한 인물

    ⑥ 언급된 인물에 대한 모든 사항

    ⑦ 언급된 인물에 대한 관계 상태

 

 

 

5. 가계도 해석

  1) 가계도 해석

    ① 가족의 구조 : 가족의 구성, 형제 순위

    ② 생활주기의 적합성

    ③ 세대를 통한 반복되는 유형 : 기능유형, 관계유형, 가족 내 지위와 관련된 유형

    ④ 인생의 중대사와 가족의 역할

    ⑤ 삼각관계유형

    ⑥ 가족의 균형과 불균형

 

 

 

 

6. 생태도

  1) 생태학적 사정

    ① 가족 내 한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가족과 환경 간 상호작용에 초점을 둔 사정

    ② 가족은 환경 및 자원의 복잡성 속에 존재함

 

  2) 개요

    ① 1978년 Ann Hartman이 개발함

    ② 개인/가족을 둘러싼 사회적 맥락, 개인/가족과 사회체계들 간 상호작용을

        하나의 그림으로 나타내는 사정도구

 

  3) 특징

    ① 환경에서 가족으로 자원이 어떻게 흐르는지를 표시함

    ② 가족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환경 요인들을 탐색하기 위해 상담자와

        가족이 함께 공동의 노력을 필요로 함

    ③ 생태도는 경계와 관련된 이슈나 사회적 관계에서의 상호성 같은 중요한 

        정보에 주의를 기울이면서 가족문제를 사정하고 개입계획을 세우는 

        과정에서 작성할 수 있음

    ④ 생태도를 작성하면서 가족구성원이 현 상태를 보다 객관적으로 이해하고

        수용할 수 있게 됨

    ⑤ 전체적인 맥락과 상활 속에서 가족을 사정하는 데 유용함

 

  4) 작성방법

    ① 백지에 중앙에 가족체계를 그려넣을 큰 원을 그림

    ② 원 안에 가족성원들이 표시된 간략한 가계도를 그려넣음

    ③ 가족에게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환경체계들(학교, 직장, 복지관 등)을

        원 밖의 주변에 배치하여 그려넣음

    ④ 가족체계와 주변 환경체계들과의 교류 상황 그리고 외부 환경체계 상호간의

        교류 상황을 파악함

    ⑤ 상호교류의 성격을 선으로 표시함

    ⑥ 외부 체계가 가족 전체와 연결되어 있으면 외부체계와 큰 원을 선으로

        연결하고, 외부체계가 가족 내의 특정 개인과만 연결되어 있으면

        그 개인과 외부체계를 선으로 연결함

    ⑦ 간략한 설명을 선 옆에 적음

 

 

 

7. 가족조각 기법

  1) 개념

    ① 가족구성원 중 누군가에게 자신이 느끼는 가족관계나 상호작용 패턴을

        가족들의 몸을 활용하여 표현하도록 함

    ② 1973년 칸터와 덜이 개발함

    ③ 경험적 가족치료모델에서의 가족사정 및 치료를 위해 주로 사용됨

    ④ 가족관계에 대한 가족구성원이 어떻게 느끼고 인식하는지를 표현함

    ⑤ 가족조각을 실시하기 위해 필요한 요소

      - 조각가 : 가족을 어떻게 보는지에 따라 작품이 만들어짐

      - 모니터 : 주로 상담자가 담당, 조각가와 조각 과정에 참여하는 다른

           가족을 도와주고 지도함

      - 연기자 : 일반적으로 조각가 이외의 가족이 담당

 

  2) 유용성

    ① 아동이 상담이 참가할 때 특히 유용함

    ② 아동 : 언어보다 비언어적으로 표현할 때 자신의 감정이나 인식에

           보다 솔직할 수 있음

    ③ 성인 : 아동보다 참여에 주저하는 경향이 있긴하나 아동과 마찬가지로

           언어보다 비언어적으로 표현할 때 자시의 감정이나 인식에 보다

           솔직할 수 있음

 

  3) 실시방법

    ① 가족의 동의를 얻는 단계

      - 가족의 동의를 구한 후, 가족 전원을 일어나게 함

      - 새로운 경험이라는 점 때문에 가족들이 주저하는 경우가 있음

    ② 조각가를 선정하는 단계

      - 가족구성원 중 한 명을 조각가로 선정함

      - 보통 문제가 있다고 지목된 가족구성원이 성정됨

    ③ 조각을 만드는 단계

      - 조각가가 정해지면 다른 가족구성원들 앞에 서게 하고, 조각방법을

        설명한 후에 조각을 만들도록 함

      - 특별한 규칙은 없지만 상담가는 가족에게 조각가의 지시에 따르도록 

        강조하는 것이 좋음

      - 모든 가족구성원에 대한 조각(배치)이 끝나면, 조각가도 자신이 만든

         조각작품의 어딘가에 자리를 잡고 자신의 모습을 만들도록 함
      - 조각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가족들이 이야기하거나 웃지 않게 하는

        것이 중요함
      - 처음부터 시간을 가지고 천천히 진행하도록 배려하는 것이 좋음

    ④ 자신들의 감정을 나누는 단계

      - 조각가를 포함하여 모든 조각작업이 끝나면, 상담자는 모든

        가족구성원들에게 1분 정도 그 자세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가만히 있도록

        요구함

      - 상담가즌 가족 개개인에게 조각하는 동안 어떤 느낌이 들었는지 질문함

      - 상담자는 가능하면 가족구성원들이 감정적 차원에서 많은 피드백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함

 

 

2019. 05.  강원도 오대산  각시괴불나무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