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측정의 의의
1) 측정의 의의
① 일정한 규칙에 따라 대상에 값을 부여하는 과정임
② 변수에 대한 조작적 정의에 입각하여 이루어짐
2) 측정의 기능
① 관념적 세계와 경험적 세계 간의 교량 기능
② 객관화와 표준화의 기능
③ 계량화 기능
④ 반복과 의사소통 기능
2. 개념화와 조작화
1) 개념적 정의
① 연구대상인 사람, 사물의 속성, 사회적 현상 등의 변수를 개념적으로 정의하는 것임
② 특정 용어가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말로 서술해 놓은 것
2) 조작적 정의
① 추상적인 개념을 실증적 ⸳ 경험적으로 측정 가능하도록 구체화하여 정의
② 추상적 세계와 경험적 세계를 연결하는 중간다리 역할
③ 하나의 개념을 조작화하는 방법은 다양함
3. 변수의 종류
1) 독립변수(Independent Variable)
① 인과관계에서 다른 변수의 변화를 일으키는 변수
② 실험설계에서의 독립변수 : 실험처치, 실험자글
2) 종속변수(Dependent Variale)
① 다른 변수에 영향을 받지만, 다른 변수에 영향을 미칠 수 없는 변수
② 독립변수의 영향을 받아 일전한 결과를 나타내는 변수
3) 제 3의 변수
① 매개변수(Intervening Variable)
- 두 변수는 서로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데 제 3의 변수가 두 변수를 중간에서 연결시켜
두 변수가 간접적으로 관계를 가지는 경우, 둘 사이에 놓인 변수
② 조절변수(Moderation Variable)
-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력을 조절하는 변수
-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간의 관계나 강도나 방향에 미치는 변수
③ 억제변수(Suppressor Variable)
- 두 개의 변수 간에 상관관계가 있으나, 그와 같은 관계가 없는 것처럼 보이게 하는 제 3의 변수
- 두 개의 변수에 대해 각각 긍정적 · 부정적으로 상관됨
④ 외생변수(Extraneous Variable)
-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표면상으로는 영향을 미쳐 관계가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제 3의 변수로 인해 그렇게 보이는 것일 뿐 실제로는 관계가 없는 경우
- 외생변수는 가식적 관계를 만듬
⑤ 왜곡변수(Distorter Variable)
- 두 변수 간의 관계를 어떤 식으로든 왜곡시키는 제 3의 변수
- 억압변수와의 차이점 : 두 개의 변수 간의 관계를 정반대의 관계로 나타나게 함
⑥ 선행변수(Antecedent Variable)
- 인과관계에서 독립변수에 앞서면서 독립변수에 유효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변수
- 선행변수를 통제해도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사이에 관계는 사라지지 않음
4) 통제변수
①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인과관계에 영향을 주는 제 3의 변수 중 조사설계에서 조사자가 통제하려는 변수
4. 척도의 의의
1) 척도의 의의
① 측정을 위한 도구
② 일정한 규칙에 따라 관찰된 현상에 대해 수치나 기호를 부여하기 위해 사용되는 도구임
2) 측정
① 관찰된 현상에 대해 일정한 규칙에 따라 수치나 기호를 부여하는 것
5. 척도의 수준
1) 명목척도(Nominal Scale)
① 가장 낮은 수준의 측정
② 이름을 부여하는 명목적인 것
③ 숫자의 크기는 아무런 의미가 없음
④ 명목척도는 상호배타적인 특성을 가짐
2) 서열척도(Ordinal Scale)
① 측정대상을 그 특징이나 속성에 따라 일정한 범주로 분류하고, 범주들 간의 상대적 순서관계를 밝히는 것
② 측정대산 간의 대소, 고저, 전환, 상하 등에 따라 서열화됨
③ 상호배타적인 특성과 함께 순서의 의미를 지님
④ 정확하게 정량화하기 어려운 특정에 이용됨
3) 등간척도(Interval Scale)
① 어떤 대상의 속성에 대해 순위(서열)을 부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각 순서(서열)범주 사이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고 범주 사이의 간격이 동일한 척도
② 등간격이므로 +와 -의 산술적 계산에 사용될 수 있음
③ 절대 영(Absolute Zero)이 없기 때문에 ×와 ÷의 비율계산에는 사용할 수 없음
4) 비율척도(Ratio Scale)
① 등간척도가 갖는 특성에 추가로 측정값 사이의 비율계산이 가능한 척도
② 속성이 전혀 존재하지 않은 상태의 절대 영점이 존재함
③ '0'이 실제적 의미를 가지고 있음
6. 지수와 척도
1) 지표(指標, Indicator)
① 변수의 속성을 나타내는 요소
2) 지수(指數, Index)
① 다의적이고 복합적인 특성을 갖고 있는 개념을 양적으로 측정하기 위해서
고안된 다수의 지표들을 하나로 묶어 단일 수치로 표현한 것
3) 척도(尺度, Scale)
① 측정을 위한 도구
② 사회과학에서의 척도 → 주로 다수의 문항들로 구성되어 있음
③ 지수에 비해 주관적인 지표들로 구성됨
4. 유형별 척도 구성
1) 명목척도화
① 각 범주에 부여된 숫자가 단지 서로 다름만을 의미하는 수준으로 측정하기 위한 척도화
② 명목척도화의 원칙
- 동질적
- 상호배타적
- 포괄적
- 논리적 연관성
2) 서열척도화
① 측정된 값들 사이에 상대적 순서관계를 밝힐 수 있도록 숫자나 기호를 부여하는 과정
② 서열척도화 종류
- 평정척도화
- 리커트 척도화
- 커트만 척도화 등
3) 평정척도(Ration Scale)
① 도표식 평정 척도
- 평정척도에서 가장 흔히 사용되는 기법
- 선과 언어를 합하여 구성함
② 숫자 - 언어식 평정 척도
- 측정대상의 특성에 따라 평가자가 일정한 숫자나 언어를 부어하여 평가함
③ 평점방식 평정 척도
- 조사대상의 속성 · 특성에 대하여 평가자가 자신의 의견이나 태도를 수치로 평정함
4) 리커트 척도화(Likert Scaling)
① 총화평정법을 활용함
② 다수의 문항을 사용했을 때 나타나는 복잡성 문제를 개선함
③ 인간의 행동 뿐 아니라 내면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법임
④ 서열측도에 해당함
5) 커트만 척도(Guttman Scale)
① 척도를 구성하는 문항들이 내용의 강도에 따라 일관성 있게 서열을 이룸
② 기본 전제 : 보다 강한 정도를 측정하는 문항에 긍정적인 응답자는
그보다 약한 정도를 측정하는 문항에 당연히 긍정적일 것
③ 서열척도에 해당함
6) 등간 - 비율척도화
① 개별 값들 간에 일정한 거리(등간 측정)와 절대 영의 기준점을 가지고 비율측정을 할 수 있는 것
② 써스톤 척도
- 등간척도를 구성하기 위해 고안된 하나의 기법
③ 문항평가자들을 통해 사전평가를 시행함
'사회복지조사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복지조사론 6주] 자료분석과 면접조사 (0) | 2021.05.04 |
---|---|
[사회복지조사론 5주] 설문지 작성과 표본추출 (0) | 2021.04.19 |
[사회복지조사론 4주] 신뢰도와 타당도 (0) | 2021.04.05 |
[사회복지조사론 2주] 사회복지조사의 기본 이해 (0) | 2021.03.01 |
[사회복지조사론 1주] 과학과 사회조사 방법 (0) | 2021.02.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