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현대가족의 변화
1) 가족구조의 변화
① 가족 규모의 축소 : 1인 가구의 증가
② 가족 형태의 다양화
③ 가족세대 분화로 가족구조의 변화
2) 가족의 일반적인 기능 변화
① 성적 및 재생산 기능의 변화
② 자녀양육 및 사회화의 기능 변화
③ 경제적 기능의 변화
④ 정서적 유대 및 여가의 기능 변화
⑤ 사회보장기능의 변화
⑥ 지위계승기능의 변화
⑥ 가사노동의 변화
3) 가족생활주기의 변화
① 가족형성기의 변화 : 늦어지는 추세
② 가족확대기의 축소 : 자녀출산기와 양육, 교육기간이 짧아짐
③ 가족축소기의 연장 : 자녀수의 감소와 독립시기가 빨라짐
④ 가족해체기의 연장 : 가족축소기의 연장으로 해체기도 연장됨
⑤ 가족생활주기 변화로 인한 가족생활의변화
4) 가족가치관의변화
① 결혼가치관의 변화
- 개인의 자아성취와 개인의 이익을 우선하는 개인주의적 가치관 보편화
- 미혼기간이 길어지고 결혼을 포기하는 경향이 증가함
② 자녀에 대한 가치관의 변화
- 산업사회의 구조적 특성과 가족구조의 변화, 역할의 변화로 인해서 자녀에
대한 가치관도 달라지고 있음
③ 평등에 대한 가치관의 변화
- 남성과 동등한 수준의 교육을 받은 여성들이 점차 늘어남
- 자아실현을 위해 노력하는 여성들이 증가하고 있음
2. 현대 가족변화에 대한 쟁점
1) 가족위기론
① 가족은 사회 환경과역동적인 상호관계를 가짐으로 지속적으로 변화와 변동
② 가족의 위기는 근본적인 구조 및 기능상의 쇠퇴와 삶의 방식의 혼란과 갈들을 의미함
③ 가족변화의 원인 : 극단적인 개인주의와 이기주의, 인간의 쾌락주의
④ 가족 내에서 희생과 배려의 가치 상실이 가족해체현상으로 이어짐
2) 가족진보론
① 가족의 변화는 당연하고 자연스러운 변화로 수용하고 다양한 가족유형 인정
② 가족을 둘러싼 변화의 요인은 종래의 가부장제적 가족구조와 경제구조의 불안정성
③ 이혼이나 출산율 문제의 근본적 원인 : 자녀양육 및 출산의 모든 책임이 여성에게
과부하된 성별 분업체계
④ 이상적인 부부관계는 남녀평등한 동업자 관계 강조
⑤ 한 부모, 독신, 동거, 동성애 가족 등 새롭게 등장하고 있는 가족유형들은 가족제도의
새로운 대안적 가족형태로 간주
⑥ 적극적 사회복지정책을 통한 전통적 가족 기능을 사회화 함을 강조
3. 현대가족의 문제
1) 현대가족의 문제
① 빈곤이나 자원의 결핍으로 인한 문제
② 가족 내 인간관계의 문제
③ 불안정가구의 증가
④ 피부양자의 보호문제
2) 현대가족의 문제해결방안
① 가족복지법의 제정
② 대통령직속의 가족정책 심의 기구 설치
③ 가족기능의 와해 전 보완적 서비스의 제공
④ 금전적 서비스는 국가가, 비금전적 서비스는 가족이 상호 보완적으로 책임
⑤ 가족기능을 보완하는 서비스 제공
⑥ 가족은 문제의 해결사라는 전제에 도입
'가족복지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족복지론 6주] 가족치료모델 02 (0) | 2022.04.20 |
---|---|
[가족복지론 5주] 가족치료 및 가족치료모델 01 (0) | 2022.03.22 |
[가족복지론 4주] 가족복지 정책 (0) | 2022.02.22 |
[가족복지론 3주] 가족복지실천의 원리와 원칙, 가족복지 서비스 (0) | 2022.01.24 |
[가족복지론 1주] 가족의 정의와 기능, 가족복지의 필요성 (0) | 2021.11.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