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족복지론

[가족복지론 2주] 현대가족의 변화와 문제

by 느티나무숲 2021. 12. 15.

1. 현대가족의 변화

  1) 가족구조의 변화

    ① 가족 규모의 축소 : 1인 가구의 증가

    ② 가족 형태의 다양화 

    ③ 가족세대 분화로 가족구조의 변화

 

  2) 가족의 일반적인 기능 변화

    ① 성적 및 재생산 기능의 변화

    ② 자녀양육 및 사회화의 기능 변화

    ③ 경제적 기능의 변화

    ④ 정서적 유대 및 여가의 기능 변화

    ⑤ 사회보장기능의 변화

    ⑥ 지위계승기능의 변화

    ⑥ 가사노동의 변화

 

  3) 가족생활주기의 변화

    ① 가족형성기의 변화 : 늦어지는 추세  

    ② 가족확대기의 축소 : 자녀출산기와 양육, 교육기간이 짧아짐

    ③ 가족축소기의 연장 : 자녀수의 감소와 독립시기가 빨라짐

    ④ 가족해체기의 연장 : 가족축소기의 연장으로 해체기도 연장됨

    ⑤ 가족생활주기 변화로 인한 가족생활의변화

 

  4) 가족가치관의변화

    ① 결혼가치관의 변화

      - 개인의 자아성취와 개인의 이익을 우선하는 개인주의적 가치관 보편화

      - 미혼기간이 길어지고 결혼을 포기하는 경향이 증가함

    ② 자녀에 대한 가치관의 변화

      - 산업사회의 구조적 특성과 가족구조의 변화, 역할의 변화로 인해서 자녀에

        대한 가치관도 달라지고 있음

    ③ 평등에 대한 가치관의 변화 

      - 남성과 동등한 수준의 교육을 받은 여성들이 점차 늘어남

      - 자아실현을 위해 노력하는 여성들이 증가하고 있음

 

 

 

 

2. 현대 가족변화에 대한 쟁점

  1) 가족위기론

    ① 가족은 사회 환경과역동적인 상호관계를 가짐으로 지속적으로 변화와 변동

    ② 가족의 위기는 근본적인 구조 및 기능상의 쇠퇴와 삶의 방식의 혼란과 갈들을 의미함

    ③ 가족변화의 원인 : 극단적인 개인주의와 이기주의, 인간의 쾌락주의

    ④ 가족 내에서 희생과 배려의 가치 상실이 가족해체현상으로 이어짐

 

  2) 가족진보론

    ① 가족의 변화는 당연하고 자연스러운 변화로 수용하고 다양한 가족유형 인정

    ② 가족을 둘러싼 변화의 요인은 종래의 가부장제적 가족구조와 경제구조의 불안정성

    ③ 이혼이나 출산율 문제의 근본적 원인 : 자녀양육 및 출산의 모든 책임이 여성에게

        과부하된 성별 분업체계

    ④ 이상적인 부부관계는 남녀평등한 동업자 관계 강조

    ⑤ 한 부모, 독신, 동거, 동성애 가족 등 새롭게 등장하고 있는 가족유형들은 가족제도의 

        새로운 대안적 가족형태로 간주

    ⑥ 적극적 사회복지정책을 통한 전통적 가족 기능을 사회화 함을 강조

 

 

 

3. 현대가족의 문제

  1) 현대가족의 문제

    ① 빈곤이나 자원의 결핍으로 인한 문제

    ② 가족 내 인간관계의 문제

    ③ 불안정가구의 증가

    ④ 피부양자의 보호문제

 

  2) 현대가족의 문제해결방안

    ① 가족복지법의 제정

    ② 대통령직속의 가족정책 심의 기구 설치

    ③ 가족기능의 와해 전 보완적 서비스의 제공

    ④ 금전적 서비스는 국가가, 비금전적 서비스는 가족이 상호 보완적으로 책임

    ⑤ 가족기능을 보완하는 서비스 제공

    ⑥ 가족은 문제의 해결사라는 전제에 도입

 

 

2021. 09.  서울  남산  개다래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