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아동권리 개념과 유형
1) 아동권리 개념
① 사람이라면 누구나 사람답게 살 권리인 인권을 가지고 태어남
② 아동 역시 본질적으로 인권을 가짐
③ 아동은 잠재력을 가지고 성장해 가는 주체이며, 아동기는 그 자체로 한 인간에게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시기임
2) 아동권리 유형
① 생존권 : 인간은 스스로 생명 존중, 생명활동 유지, 최상의 건강 의료혜택을 받을 권리
② 특별보호권 : 차별대우, 착취, 학대, 방임, 가족과의 인위적 분리 등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받을 권리
③ 성장발달권 : 신처적으로 성장하고 정신신적으로 발달해야 할 과업, 권리를 지님
④ 참여권 : 자신의 의사를 표현할 자유, 자기 생활에 영향을 주는 일에 대해 말할 수 있는 권리
⑤ 시민권과 자유권 : 사회의 시민으로서 자유롭게 자신의 의견을 제시하고 자기 미래를 결정할 권리
⑥ 양육보장권 : 성장할 때까지 안전하게 양육될 권리
⑦ 복지권 : 자신의 복리를 보장받을 권리
⑧ 교육권 및 문화향유권 : 잠재된 능력을 개발하기 위해 교유과 문화에 접근할 권리
3) 아동권리의 중요성
① 아동기의 가치가 인정되고 그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증대되었기 때문
② 가족구조의 변화가 아동권리에 관한 인식을 변화시킴
③ 교육의 보편화가 아동권리증진에 영향을 줌
④ 의료기술의 발달로 인한 영아사망률 감소
⑤ 아동권리에 대한 인식증진에는 경제성장의 영향도 큼
⑥ 정보통신기술의 발달 및 미디어의 영향력 강화에 따라 현대사회에서 아동권리가 더욱 중요하게 인식됨
2. 아동권리의 사상발전과 발달과정
1) 아동권리 사상발전
① 부모로부터의 분리
② 자유방임주의와 가부장제
③ 국가부권주의와 아동보호 정신
④ 가족중심주의와 부모의 권리정신
2) 아동권리의 발달과정
① 제1차 아동권리선언
- 1922년 아동복리회 창설자 Jebb여사에 의해 성문화됨
② 제1차 제네바선언
- 1924년 국제연맹 제5차 총회에서 채택됨
- 아동권리에 대한 첫 걸음이 됨
③ 세계인권선언
- 1948년 국제연합에 의해 채택됨
- 인권보장, 모자의 보호, 교육권리 등
④ 제2차 제네바선언
- 1959년 아동의 해방에 초점을 두고 7개 조항에서 아동권리 강조
⑤ 제2차 아동권리선언
- 1959년 세계인권선언의 내용 보완, 확대하여 아동 고유의 인권선언을 담고 있음
⑥ 유엔아동권리협약
- 1989년 제 44회 유엔총호에서 채택
- 법적 구속력을 강화한 국제적 인권조약
3. 한국의 아동 인권
1) 방정환과 아동권리
① 우리의 전통사회에서 아동들의 인권을 보호하기 위해 ‘어린이’라는 존칭어를 만듬
② 1922년 세계 최초 ‘어린이날’ 제정 어린이운동 주도
③ 소파 방정환은 어린이인권운동가이자, 아동문학가이며, 어린이교육가임
2) 대한민국 어린이헌장
① 어린이의 인권을 존중하고 아동권리와 관련된 구체적인 법률 제정의 기반을 마련
② “대한민국 어린이 헌장”을 1957년 5월 5일 어린이날에 공포함
4. 유엔의 아동 인권
1) 아동 인권 발달 특징
① 인권선언(1789) : 아동권리 발달에 관한 세계의 역사는 인간은 누구나 타고난 권리가 있음을 인정함
② 제네바 아동권리선언(1924)
③ 아동권리협약(1989)
2) UN아동권리협약
① UN아동권리협약(CRC :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은 18세 미만 아동의 권리를 담은 국제적인 약속
② 1989년 11월 20일 UN총회에서 참가국 만장일치로 채택함
③ UN아동권리협약은 일반적으로 승인된 국제법규로서 국내법과 같은 효력이 있어
비준국의 정부는 이 협약을 존중하고 준수할 의무를 짐
④ 만 18세 미만의 모든 어린이들을 아동으로 정의
⑤ 마땅히 누려야 할 기본권으로 생존권, 보호권, 발달권, 참여권 네 가지를 제시하고 있음
'아동복지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동복지론 6주] 아동복지와 아동복지서비스 (0) | 2021.05.21 |
---|---|
[아동복지론 5주] 아동복지관련 법률 및 복지행정 (0) | 2021.04.30 |
[아동복지론 4주] 아동복지 발달사 (0) | 2021.04.16 |
[아동복지론 2주] 아동발달이론 (0) | 2021.03.20 |
[아동복지론 1강] 아동복지와 사회복지, 이념과 가치 (0) | 2021.02.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