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신 병리의 개념에 대한 이해
1) 정신병리의 개념
① 정신 병리의 정신장애는 명료한 정의를 내리기 힘들고 각 나라의 사회적 문화적 규범에 따라
약간씩 다르게 정의되며, 일상을 살면서 혼란을 겪거나 갈등상태에 빠져 있는 현상 등을 정신장애라 할 수 없음
② 또한 일시적 불행감과 공포, 일시적 사회 규범 일탈 상태도 정신장애로 분류할 수 없음
③ 정신장애의 종류는 다양하며, 그 종류에 따라 증상의 정도가 다르고, 증상 과정과 결과도 다르게 나타남
④ 따라서 치료효과도 정신장애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정신장애는 개인 생활의 모든 면에,
또는 일부에 해로운 영향을 끼칠 수 있음
2. 정신 병리의 증상에 대한 이해
1) 정신 병리의 증상
① 정신 병리적 증상을 가진 사람들의 특성은 일반적으로 소외감과 박탈감, 분노, 억울함 등에 시달리는 경우가 많고,
이러한 심리는 결과적으로 사회적으로 일탈된 행동과 범죄를 저지를 확률이 높게 나타남
② 상식적인 범위에서 이해되지 않는 말과 해동을 할 때 흔히 정신 병리적 증상으로 표현하고
이런 증상에 조현병 (과거 정신분열병), 망상장애, 조울증, 우울증, 치매 등이 심한 경우,
그리고 알코올, 마약 등이 급성중독 또는 금단상태 등이 있음
③ 이들은 일반적으로 현실 검증력에 문제를 보이가 병식 (자신의 병에 대한 인식)에 대한 능력이 저하된 상태임
④ 또한 환청, 환각, 환시, 환촉 등의 증상을 보이며 실제로는 없는데, 허상을 보거나 누군가 자신을 욕하는 것을
듣고, 자신을 시기하고 질투하는 것을 실제처럼 느끼고 심하면, 이러한 증상에 구체적으로 대항하기도 함
⑤ 보통 혼잣말로 모호하게 중얼거리거나 토막토막 의미 없는 소리를 내기도 함
3. 정신병리 진단기준 및 분류에 대한 이해
1) 정신병리 진단기준
① 정상과 이상의 올바른 구분과 정신장애의 정확한 진단은 쉽지 않음
② 정신장애는 정신질환과 지적장애로 구분됨
③ 정신질환은 정신신경증과 정신병으로 나누게 됨
④ 신경증과 정신병은 현실 판단능력 유무에 따라 구분됨
⑤ 신경증은 비교적 흔하고 증상을 이해할 만하고 공감할 수 있으며, 현실 판단능력이 손상되지 않아
증상을 가진 환자 스스로도 자아 이질적이어서 괴로워함
⑥ 반면 정신병은 이해하기 어렵고 쉽게 동감되지 않으며, 자아기능의 퇴행이 심하고 현실 판단능력이 거의 없음
⑦ 정신병 장애는 다시 기질성 정신병과 기능성 정신병으로 구분됨
⑧ 기질적 정신병은 뇌암, 혈관성, 질환, 감염증, 독성, 외상성 또는 선천성 요인과 같은 신체적 병리로 인한 정신병임
⑨ 반면 기능성 정신병은 기능의 손상이 있으나 어떠한 기질성 병리로 인한 것이 아닌 정신병으로
신체검사상 이상 소견이 없고 심리적인 증상에 의해 진단됨
⑩ 정신장애의 판단 기준
- 낮은 빈도 : 보통 일반인과는 다른 생각과 다른 행동을 하는 소수의 사람들
- 주관적 고통 : 개인의 심리적 고통의 느낌을 이상으로 봄
- 무능력 또는 역기능 : 정상적 생활이 힘들고, 현재 처한 환경에 효과적인 적응과 대처가 어려움
- 사회적 규범 위반 : 사회적 규범을 위반 하는 사람
4. 정신장애 종류 및 내용에 대한 이해
1) 정신증(정신병)
① 정신증은 현실의 객관적 판단을 못하는 무능력 상태로, 사고과정 장애, 망상, 환각, 판단력 손상, 통찰력 손상,
알츠하이머(뇌의 기질적 정신병) 정신분열증과 조울증 (기능적 정신병) 등의 증세를 보임
② 구체적인 정신증 증세에는 사고과정 장애, 의식장애, 인지장애, 망상, 주의력 장애, 기억장애, 강박장애,
행동장애, 지능장애, 기분장애, 경계선 성격장애, 반사회성 인격 장애, 히스테리성 인격장애, 해리장애, 자폐장애,
조현병 등의 증세를 보임
2) 신경증
① 신경증은 주관적인 불편감과 고통을 호소하나 현실 객관적 평가 가능한 상태임
② 일상 속 고민 유발하고 기능 장애 초래하나 정상적 일상생활 영위할 수 있음
③ 현실왜곡 증상 두드러져 사회적응에 심각한 곤란 겪는 정신증과는 비교됨
④ 신경증의 증세에는 조울증, 우울신경증, 불안신경증, 강박신경증, 편집증, 외상성신경증, 전환 히스테리,
해리장애, 신체증상 보이는 신경증, 장기적으로 주위에 잘 적응 못하는 성격장애, 유아기, 아동기에 특징적으로
뚜렸이 나타나는 정신장애, 성정체감과 성 기호에 영향 끼치는 정신 성욕장애, 혼합된 장애증상,
분명히 정의된 질환들 사이에 중간 형태 취하는 장애 등이 있음
'정신건강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신건강론 11주] 비물질중독 (0) | 2021.07.20 |
---|---|
[정신건강론 10주] 물질중독 이해 (0) | 2021.07.03 |
[정신건강론 7주] 노년기의 정신건강 (0) | 2021.05.27 |
[정신건강론 6주] 성인기의 발달과제과 중년기의 정신건강 (1) | 2021.05.13 |
[정신건강론 5주] 청소년기 (0) | 2021.04.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