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신건강론

[정신건강론 9주] 정신 병리의 이해

by 느티나무숲 2021. 6. 16.

1. 정신 병리의 개념에 대한 이해

  1) 정신병리의 개념

    ① 정신 병리의 정신장애는 명료한 정의를 내리기 힘들고 각 나라의 사회적 문화적 규범에 따라

       약간씩 다르게 정의되며, 일상을 살면서 혼란을 겪거나 갈등상태에 빠져 있는 현상 등을 정신장애라 할 수 없음

    ② 또한 일시적 불행감과 공포, 일시적 사회 규범 일탈 상태도 정신장애로 분류할 수 없음

    ③ 정신장애의 종류는 다양하며, 그 종류에 따라 증상의 정도가 다르고, 증상 과정과 결과도 다르게 나타남

    ④ 따라서 치료효과도 정신장애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정신장애는 개인 생활의 모든 면에,

       또는 일부에 해로운 영향을 끼칠 수 있음

 

 

 

2. 정신 병리의 증상에 대한 이해

  1) 정신 병리의 증상

    ① 정신 병리적 증상을 가진 사람들의 특성은 일반적으로 소외감과 박탈감, 분노, 억울함 등에 시달리는 경우가 많고,

        이러한 심리는 결과적으로 사회적으로 일탈된 행동과 범죄를 저지를 확률이 높게 나타남

    ② 상식적인 범위에서 이해되지 않는 말과 해동을 할 때 흔히 정신 병리적 증상으로 표현하고

        이런 증상에 조현병 (과거 정신분열병), 망상장애, 조울증, 우울증, 치매 등이 심한 경우,

        그리고 알코올, 마약 등이 급성중독 또는 금단상태 등이 있음

     ③ 이들은 일반적으로 현실 검증력에 문제를 보이가 병식 (자신의 병에 대한 인식)에 대한 능력이 저하된 상태임

     ④ 또한 환청, 환각, 환시, 환촉 등의 증상을 보이며 실제로는 없는데, 허상을 보거나 누군가 자신을 욕하는 것을

        듣고, 자신을 시기하고 질투하는 것을 실제처럼 느끼고 심하면, 이러한 증상에 구체적으로 대항하기도 함

     ⑤ 보통 혼잣말로 모호하게 중얼거리거나 토막토막 의미 없는 소리를 내기도 함

 

 

 

 

 

3. 정신병리 진단기준 및 분류에 대한 이해

  1) 정신병리 진단기준

    ① 정상과 이상의 올바른 구분과 정신장애의 정확한 진단은 쉽지 않음

    ② 정신장애는 정신질환과 지적장애로 구분됨

    ③ 정신질환은 정신신경증과 정신병으로 나누게 됨

    신경증과 정신병은 현실 판단능력 유무에 따라 구분됨

    신경증은 비교적 흔하고 증상을 이해할 만하고 공감할 수 있으며, 현실 판단능력이 손상되지 않아

       증상을 가진 환자 스스로도 자아 이질적이어서 괴로워함

    반면 정신병은 이해하기 어렵고 쉽게 동감되지 않으며, 자아기능의 퇴행이 심하고 현실 판단능력이 거의 없음

    정신병 장애는 다시 기질성 정신병과 기능성 정신병으로 구분됨

    기질적 정신병은 뇌암, 혈관성, 질환, 감염증, 독성, 외상성 또는 선천성 요인과 같은 신체적 병리로 인한 정신병임

    반면 기능성 정신병은 기능의 손상이 있으나 어떠한 기질성 병리로 인한 것이 아닌 정신병으로

       신체검사상 이상 소견이 없고 심리적인 증상에 의해 진단됨

    정신장애의 판단 기준

      - 낮은 빈도 : 보통 일반인과는 다른 생각과 다른 행동을 하는 소수의 사람들

      - 주관적 고통 : 개인의 심리적 고통의 느낌을 이상으로 봄

      - 무능력 또는 역기능 : 정상적 생활이 힘들고, 현재 처한 환경에 효과적인 적응과 대처가 어려움

      - 사회적 규범 위반 : 사회적 규범을 위반 하는 사람

 

 

 

4. 정신장애 종류 및 내용에 대한 이해

  1) 정신증(정신병)

    ① 정신증은 현실의 객관적 판단을 못하는 무능력 상태로, 사고과정 장애, 망상, 환각, 판단력 손상, 통찰력 손상,

       알츠하이머(뇌의 기질적 정신병) 정신분열증과 조울증 (기능적 정신병) 등의 증세를 보임

    ② 구체적인 정신증 증세에는 사고과정 장애, 의식장애, 인지장애, 망상, 주의력 장애, 기억장애, 강박장애,

       행동장애, 지능장애, 기분장애, 경계선 성격장애, 반사회성 인격 장애, 히스테리성 인격장애, 해리장애, 자폐장애,

       조현병 등의 증세를 보임

 

  2) 신경증

    신경증은 주관적인 불편감과 고통을 호소하나 현실 객관적 평가 가능한 상태임

    ② 일상 속 고민 유발하고 기능 장애 초래하나 정상적 일상생활 영위할 수 있음

    ③ 현실왜곡 증상 두드러져 사회적응에 심각한 곤란 겪는 정신증과는 비교됨

    ④ 신경증의 증세에는 조울증, 우울신경증, 불안신경증, 강박신경증, 편집증, 외상성신경증, 전환 히스테리,

       해리장애, 신체증상 보이는 신경증, 장기적으로 주위에 잘 적응 못하는 성격장애, 유아기, 아동기에 특징적으로

       뚜렸이 나타나는 정신장애, 성정체감과 성 기호에 영향 끼치는 정신 성욕장애, 혼합된 장애증상,

       분명히 정의된 질환들 사이에 중간 형태 취하는 장애 등이 있음

 

 

2007. 04.  프랑스 파리  베르사이유궁전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