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신건강론

[정신건강론 6주] 성인기의 발달과제과 중년기의 정신건강

by 느티나무숲 2021. 5. 13.

1. 성인기 발달적 특성에 대한 이해

  1) 성인기는 41세부터 64세까지를 성인후기(중년기)로 봄

  2) 성인기는 일반적으로 부모로부터 독립되어 심리적, 신체적으로 자유를 획득한 시기임

  3) 이성을 만나 사랑을 싹 틔우고 배우자를 선택하고 결혼을 통하여

     자신만의 가정을 꾸리게 되고 타인을 사랑하고 보살피는 능력도 심화되는 시기임

  4) 안정적인 가정을 유지하기 위해 직업적 안정을 갖고 활발하게 사회활동을 하며,

    사회적 문화적 요소에 의해 발달이 심화되는 시기이기도 함

  5) 성인기는 신체적으로도 완성을 이루고 지적능력도 최고점에 도달되고,

    심리적  사회적으로 성숙해지는 시기로 그 동안 배우고 경험하고 생각하고 느껴온

    많은 것들을 현실 속에서 실천에 옮겨보면서 좀 더 구체화 시키는 시기임

  6) 이로서 다양한 분야에서 일생 중 가장 활력이 넘치고 활동적인 일들을 진행하려함

 

 

 

2. 성인기의 발달적 과제와 정신건강과의 관련성 이해

  1) 성인기의 발달과업은 직업의 안정과 안정된 결혼임

  2) 부모로서 건강한 자녀양육 역할을 다하며 직장생활과 가정생활을 조화롭게 유지해 나가는 것임

 

 

 

3. 대표적으로 나타나는 정신건강 문제에 대한 이해

  1) 다양한 욕구가 커지면서 이에 따른 스트레스가 가중되고 심리적 정신적 건강상의 문제를 겪게 됨

    ① 결혼생활에 따른 부모 역할 중 자녀에 대한 욕구

    ② 직업생활에 따른 사회적 지위 욕구

    ③ 원 가족으로부터 도피 욕구

    ④ 가족들에게 가치 있는 존재 되고 싶은 욕구

    ⑤ 정서적 지지와 안정감, 애정, 사랑, 동료애 받고 싶을 욕구

    ⑥ 경제적 독립과 안정욕구

    ⑦ 모험심과 저항 욕구 공존

 

 

4. 중년기의 발달적 특성에 대한 이해

  1) 중년기는 보통 40세부터 65세 이전까지로 인생의 전반기에서 후반기로 넘어 가는 중요한 전환기임

  2) 인생황금기, 인생전성기로 인생목표를 성취해 가는 삶의 절정기로

     내적 외적인 변화를 다양하고 폭넓게 경험하는 시기임

  3) 또한 한 개인에게 부과된 과업을 거의 완수하고 사회적 책임자의 위치에 있는 원숙한 시기임

 

 

 

5. 중년기의 발달적 과제와 정신건강과의 관련성 이해

  1) 중년기는 한 개인에게 부과된 과업을 거의 완수하고 사회적 책임자의 위치에 있는 원숙한 시기임

  2) 중년기에는 부부가 동반자 의식을 갖추고 적합한 생활 기준을 설정하고 유지시켜 나가야 함

  3) 직업안정을 통하여 경제적으로 안정을 누리고 여가활동과 다가올 변화에도 대비하며 적응해 나가야 함

 

 

 

6. 중년기에 나타나는 대표적인 정신건강상의 문제 이해

  1) 중년기에는 폐경기 갱년기 인생 쇠퇴기 또는 위기의 빈둥지 시기라 하며

    자녀양육과 노부모 부양에 대한 책임을 동시에 수행해야 하는 샌드위치 세대 이기도 함 (장수한 외, 2014)

  2) 중년기에는 신체적 변화와 더불어 직장에서의 역할 상실과 가정에서의 경제적 부담,

    자녀양육과 부모부양에 대한 부담감, 부부갈등으로 인한 다양한 관계 갈등과 스트레스,

    개인적 심리적 변화 등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증가함

  3) 성공적으로 과업을 완수할 경우에는 사회적, 경제적으로 충만한 위치에  있겠지만

   과업에 실패하고 절망과 두려움에 처하는 경우도 있음

 

 

2021. 5.  서울 양천구  수레국화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