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실천의 과정2 [사회복지실천론 11주] 사회복지실천의 과정 03 _ 계획 1. 목적과 목표 설정 1) 계획의 개념 ① 변화에 초점을 둔 개입과 사정을 연결하며 사정에 기초를 두고 있는 사정의 산물일 뿐만 아니라 문제해결 과정의 일부 ② 합리적인 선택에 기초하고 현실 가능한 범위 내에서 판단하는 활동 2) 계획 수립 단계 ① 서비스 이용자의 문제와 욕구, 강점과 약점을 토대로 우선순위 결정 (사정의 내용 검토) ② 목적 및 목표의 설정과 결정 ③ 목표달성을 위한 행동전략 마련을 포함한 구체적인 계획수립 ④ 계약하기 3) 목적(Goal) ① 서비스이용자와 사회복지사가 사회복지실천을 통해 전체적이며 최종적으로 성취하기 원하는 바람직한 결과 ② 목적의 유형 - 관계 유지 - 특정 행동의 변화 - 방향성 변화 - 구체적인 재화 - 서비스 또는 필요한 자원 획득 4) 목표 ① 서비스이용.. 2022. 8. 16. [사회복지개론 7주] 사회복지실천론 1. 사회복지실천의 목표 1) 생존권의 보장 ① 인간의 최소한의 인간다운 생활을 유지하기 위하여 최소한도의 자원을 지원해주는 것 2) 사회생활상의 기본적 욕구의 충족 ① 사회복지의 실천을 통해서 인간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사회적 욕구를 충족할 수 있도록 접근 3) 노말리제이션의 실현 ① 정상화의 이념 ② 장애인의 인권, 가치, 존엄성이 일반 시민과 같은 것이며, 장애를 가진 자가 장애를 가지지 않은 자와 함께 생활할 수 있는 사회가 정상적인 사회 ③ 탈시설화, 주민참가 등에 의한 재가복지의 구체적인 목적이 정상화의 이념과 밀접한 관계를 가짐 4) 통합화의 실현 ① 장애인이나 노인 등의 보호 대상자가 자신들이 성장한 지역사회에서 일반주민들과 함께 생활해야 하는 것 ② 지역사회의 보호 대상자들이 가능한 한 .. 2022. 5. 5. 이전 1 다음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