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청소년복지론

[청소년복지론 2주] 청소년복지의 전개과정과 접근 방법

by 느티나무숲 2021. 12. 23.

1. 청소년복지의 변천

  1) 정부의 대응

    ① 1961년 아동복리법 제정

    1981년 아동복지법 제정으로 복지의 대상이 전체 아동으로 확대

    ③ 1987년 청소년육성법 제정

    ④ 1991년 청소년기본법 제정 및 청소년기본계획 3대 사업의 하나로 청소년복지를 제시

    ⑤ 2004년 청소년복지지원법 제정

    ⑥ 2005427일에 문화관광부 청소년국과 청소년보호위원회가 통합되어

        청소년위원회가 신설

    ⑦ 20082월 청소년위원회가 폐지 청소년 업무 보건복지가족부 아동청소년정책실로 이관

    20104월 보건복지가족부의 아동청소년정책실에서 여성가족부의

       청소년가족정책실로 다시 이관 

 

 

 

2. 한국 청소년복지의 전개

  1) 청소년복지의 발달과정

    ① 청소년복지의 맹아기(광복 이후 ~ 1961)

      - 아동시설의 인가 : 조선구호령(1944)

      - 18세 미만 아동노동의 보호 : 아동노동법규(1946)

      - 20세 미만 비행청소년의 보호 : 소년법(1958)

    ② 청소년복지의 도입기(1962 ~ 1987년)

      - 아동복리법의 제정 (1961)

      - 장애청소년에 대한 복지사업의 실시

      - 미성년자보호법의 제정

      - 근로청소년을 위한 복지사업

      - 청소년보호대책위원회 설치

    ③ 청소년복지의 전개기(1988 ~ 2004)

      - 청소년 육성법 제정

      - 청소년정책 수행 조직과 기구 정비

      - 청소년 헌장

      - 청소년 복지를 청소년정책의 한 분야로 인정하게 됨

      - 교육보호의 제도화

      - 학교사회복지가 제도화 됨

    ④ 청소년복지의 확대기(2005~ 현재)

      - 2004년 :정부혁신지방분원위원회는 정부의 청소년기능(육성 및 보호) 통합 및

          국무총리소속 청소년위원회 설치를 확정 발표함

      - 2004년 : 청소년위원회 설립 추진단을 구성 · 운영함

      - 2005년 : 국무총리 소속하의 청소년위원회를 공식적으로 발족함

      - 2006년 : 청소년기본법 개정에 따라 청소년위원회를 국가청소년위원회로 개칭

      - 2008년 : 정부부처의 통폐합정책에 따라 국가청소년위원회가 폐지되고 

          보건복지가족부 산하 아동 · 청소년정책실로 이관됨

      - 2010년 : 여성가족부 청소년가족정책실로 다시 이관됨

 

 

 

3. 외국 청소년복지 전개

  1) 산업화 이전의 청소년복지

    ① 중세사회는 주종관계가 업격한 신분사회로서 청소년은 자신의 부모가 속한

        신분에 따라 다루어짐

    ② 신분계급이 낮은 청소년은 경제적군사적인 면에서 노동력을 착취당하는 경우

        종교적 차원 지원

    ③ 종교단체의 활동을 통한 청소년복지활동이 전개되기 시작하였다는 점에서는

        그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음

 

  2) 산업화 이후의 청소년복지

    ① 산업화 이후의 청소년복지는 산업혁명을 가장 일책 태동시킨 영국과 영국의 영향을

        많이 받은 서구 여러 나라를 중심으로 발달

    ② 영국의 경우는 1998년 아동법이 통과되어 아동부가 생기면서 독립적인 아동서비스 실시

    ③ 1985세계청소년의 해로 선언

 

 

 

4. 전문적 접근방법

  1) 전문적 접근방법

    ① 개별사회사업

    ② 집단사회사업

    ③ 지역사회조직

 

  2) 개별사회사업

    ① 청소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전문적인 방법 중에서 가장 기초적이고 중요한

        방법이 개별사회사업임

    ② 개별사회사업에는 심리사회적 이론, 기능주의 이론, 문제해결 이론, 행동수정주의

        이론, 가족치료이론, 위기개입이론, 사회화 이론, 과제중심 이론 등이 있음

 

  3)  집단사회사업

    ① 집단사회사업은 집단의 상호작용을 전제로 하여 개인이나 집단 전체가 가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문제해결의 목적에 따라 고안된 프로그램이 활용됨

    ② 집단사회사업에는 사회목표 이론, 치료이론, 상호작용적 이론 등이 있음

 

  4) 지역사회조직

    ① 청소년을 위한 지역사회조직은 지역사회를 단위로 하여 청소년에게 영향을 미치는

        각종 문제에 대해 지역사회의 내외적 자원을 동원조직화함으로써 문제해결을

        시도하는 방법임

    ② 지역사회조직사업의 4대 원칙 : 지역사회 자주의 원칙, 합리적 과정의 원칙, 합리의

        원칙, 전문워커(worker)의 참여 원칙 등이 있음

 

 

 

5. 정책적 접근방법

  1) 청소년복지 정책의 개념

    ① 국가가 만 9세에서 24세의 청소년층을 대상으로 그들의 기본적 욕구를

        충족시켜 주기 위하여 청소년 자신은 물론 그들의 가족까지 원조하고

        사회적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삶의 질을 개선시키도록 하는 사회적

        서비스와 프로그램

 

  2) 청소년복지 정책의 접근 가능성

    ① 청소년의 욕구를 정책의 목표에 반영하는 추상적인 수준에서 그것을

        정책으로 결정하고 세부적이고 구체적인 사업으로 도출해내어 실행에

        옮기기까지 일련의 체계를 이루는 총체적인 과정이 적절히 이루어져야 함

 

  3) 청소년복지정책 현황

    ① 신생정책으로서의 청소년복지정책은 폭넓고 면밀한 정책상황에 대한 검토가

        요구되며 효과적인 정책으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올바른 문제의식을 먼저

        가지고 정책에 대한 명확한 상황인식이 선행되어야 함

 

 

 

6. 통합적 접근방법

  1) 통합적 접근론의 대표적인 것

    ① 핀커스와 미나한(Pincus & Minahan)4체계(four system)모델

      - 클라이언트 체계 및 자원체계와 사회복지사와의 상호작용을 중시함

    ② 골드스테인(Goldstein)단일화(unita)모델

      - 사회학습에 관한 사회복지사의 기능에 더 많은 관심을 집중 시킴

    ③ 콤프톤과 갈라웨이(Compton & Galaway)의 문제해결과정(problem

        solvingprocess)모델

      - 사회복지사가 지병을 치료하듯이 클라이언트의 문제를 해결해 주는 것이 아님

      - 클라이언트가 효과적으로 댗할 수 있도록 클라이언트의 능력을 강화시킬

        것을 강조함

    ④ 져매인과 기트만(Germain & Gittmann)의 생활(life)모델

      - 문제를 반드시 퍼스널리티의 장애로만 파악하는 것이 아님

      - 생활의 맥락 내에서 문제를 파악하는데 관심을 둠

 

2021. 03.  서울시 강남구  은행나무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