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역사회복지론

[지역사회복지론 2주]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by 느티나무숲 2021. 12. 21.

1. 영국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1) 지역사회복지의 기원

    ① 1869년 영국 런던에서 자선조직협회 설립 후 지역사회에서 실천 활동이 더욱

        활성화 됨

    ② 런던에 인보관(토인비 홀) 설립되면서 인보관 운동 시작

 

  2) 지역사회복지의 태동기 : 1950년대 이전

    ① 지역사회보호 사업은 1920년대 정신장애인들 치료와 서비스 위해 시작됨

 

  3) 지역사회복지의 형성기 : 1951~1980년대 후반

    ① 노인들의 재가복지서비스 정책 확립

    ② 1969년 주택지방자치부 지침 82& 1972년 주택재정법

    ③ 70~75년 사이 노인주택 급격히 건설

    ④ 바클레이 보고서 : 지역사회 주민들의 다양한 비공식적 인간관계 보호 중요성 강조

 

  4) 지역사회복지의 발전기 : 1980년대 후반 이후

    ① 70~90년대 신보수주의 이념 바탕으로 확산된 모델로서 노인, 장애 등에 대한

        서비스 제공 위해 자조 개념 강조

    ② 현대사회복지 역사 흐름과 일치

 

 

 

2. 미국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1) 버팔로 자선조직협회

    ① 모든 구제단체를 동등하게 처우함

    ② 긴급한 경우 이외에는 본회자금을 사용하지 않음

 

  2) 헐 하우스

    ① 높은 시민의식과 사회생활을 하도록 교육 실시와 자선계획 수립 추진

    ②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한 근린지역사회센터

 

  3) 대공황 이후 지역사회복지의 전화

    ① 제1차 세계대전 후 대공황 여파로 미국 전역에 대량 복지수요가 파생되면서

        지방중심 사업이 국가적 차원으로 확대

    ② 알린스키 지역사회운동 활성화는 민주적인 지역사회조직 확산에 기여함

 

  4) '빈곤과의 전쟁' 이후 지역사회복지의 발달

    ① 1970년대와 80년대 신보수주의 이념의 확대는 지역사회복지실천모델의 변화에

        영향을 미침

 

 

 

 

3. 일본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1) 지역사회복지의 기원(1880년대 말~1945년 이전

    ① 2차 세계대전 이전의 지역사회복지사업의 활동은 미진하였음

    ② 기원은 1890년대 말 인보관 활동에서 찾을 수 있음

 

  2) 지역사회복지의 출발(1945년 이후 ~1970년대

    ① 시설보호 중심에서 재가보호중심 서비스로의 전환함

    ② “경제사회발전계획(1967~1971)”속에서 처음으로 지역사회복지정책이 등장함

 

  3) 지역사회복지의 형성기(1970년대 ~1980년대 초

    ① 정부지방자치단체의 재가복지서비스를 확대함

    ② 지역사회 구상과 함께 자원봉사정책의 중요성을 강조함

 

  4) 지역사회복지의 발전기(1980년대~현재

    ① 복지에 대한 공적 책임의 축소하고 행정개혁 감행함

    ② 지역주민과 밀착한 지방공공단체의 책임과 역할이 증대되었음

 

 

 

4. 한국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1) 근대이전의 시기

    ① 촌락을 중심으로 당면문제에 대한 공동의 노력과 상호부조를 위한 공동체를

        형성하게 됨

    ② 두레 : 소규모의 집단이 공동노력에 의한 공동분배

    ③ 계 : 상호 공통된 이해관계를 가진 2인 이상이 상호부조의 정신에 입각하여

        일반 생활에 이익을 도모하기 위한 민간 협동조직

    ④ 품앗이 : 부락 내 농민들이 노동력을 서로 차용 또는 교환하는 조직으로 

        우리나라 농촌의 가장 대표적인 노동협력의 양식

    ⑤ 향약 : 지역사회의 발전과 지역주민들의 순화, 덕화, 교화를 목적으로 한 지식인들

        간의 자치적인 협동조직

 

  2) 인보관 운동을 중심으로 한 근대화 시기

    ① 우리나라 최초의 인보관은 1906년 미국의 감리교 여선교사 메리놀스가 원산에

        설립한 반열방으로 알려짐

    ② 1927년 일본의 사회사업제도 방면위원제도를 경성부에 설치, 

        방면위원사업과 인보사업을 병행함과 동시에 질서유지나 지배강화도모

 

  3) 지역사회개발사업

    ① 1958년 9월 지역사회개발위원회 규정이 공포되면서 시작

    ② 1970년대 정부주도의 지역개발사업은 새마을운동으로 흡수됨

    ③ 1979년 도시 새마을운동으로 확대되면서 전국, 전 직장으로 새마을운동이 전개됨

    ④ 1980년 제5공화국 출범 후 민간주도의 새마을운동으로 전환

    ⑤ 6공화국 정부가 들어서면서 유명무실한 상태

    ⑥ 정부중심의 지역사회개발사업과 한국 농촌의 근대화, 한국 경제발전의 초석이

        되었다는 평가도 받고 있음

 

  4) 지역중심의 서비스 제공확대

    ① 사회복지전담공무원제도는 지역사회 중심의 공공사회복지전달체계가 발달하는

        계기가 됨

    ② 1987년부터 사회복지전담공무원제도 실시, 전국 읍,면,동사무소에 공공사회복지 담당

        공무원을 배치 공공부조업무 수행

 

  5) 지역사회복지의 새로운 변화 : 현재

    ① 시민사회단체의 활동으로 인해 지역사회에서 사회복지를 전달하는 민간체계들이

        확대됨

 

 

2021. 03.  서울 송파구  세잎양지꽃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