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학교사회복지론

[학교사회복지론 4주] 학생에 대한 이해 02

by 느티나무숲 2021. 4. 9.

1. 청소년 및 학생 문화 개념

  1) 문화의 개념

    ① 우리들의 삶의 전체를 집약한 것

    ② 삶을 전체적으로 볼 수 있는 통찰력이나 의식과 태도

 

  2) 청소년 문화

    ① 청소년 들이 나름의 행동방식과 생활양식을 토대로 형성한 독특한 문화

    ② 청소년이 자기들만의 독자적인 생활과 세계를 체험하게 함

    ③ 자아정체성을 확립하게 함

 

  3) 청소년 문화를 보는 관점

    ① 미숙한 문화

      - 성인 문화를 모방한 부분적인 문화라고 무시하고 경시하는 관점

      - TV모방, 연예인 모방 행위

    ② 일탈(비행)문화

      - 문제투성이, 질서 파괴, 일탈, 비행의 부정적 문화로 여김

      - 오토바이 폭주족, 성폭력, 약물남용

    ③ 하위문화

      - 기성문화의 아류문화라는 의미임

    ④ 대항문화

      - 기존의 질서를 부정하고 무시하는 문화

      - 힙합패션, 염색머리

      - 주류문화인 기성문화에 반하는 저항과 돌풍의 비주류문화로 인식

    ⑤ 대안문화

      - 성인문화와 대등한 또 하나의 영역을 형성하는 새로운 문화의 의미

      - 전혀 새롭고 독립적 영역의 문화로 인정

      - 청소년세대의 특유한 삶의 방식

 

 

 

2. 청소년 및 학생 문화 유형

  1) 소비문화

    ① 청소년들 및 학생들이 소비가 전체 소비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음

    ② 쇼퍼홀릭이라는 신조어가 생길 정도임

    ③ 10대들은 유행에 민감하고 주위환경 및 대중매체 등에 쉽게 휩쓸리는 탓에

        비합리적인 소비가 잦기도 함

    ④ 건전한 소비, 합리적인 소비에 대한 훈련이 필요함

 

  2) 사이버문화

    ① 인터넷 중독, 온라인 게임중독 등을 중심으로 사이버 문화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이 지배적임

    ② 청소년들에게 가상공간은 미래를 경험하고 만들어갈 세상임

    ③ 기성세대와 다른 문화나 생활양식을 인터넷이라는 매체를 활용해 형성함

    ④ 새롭고 폭넓은 친밀한 인간관계를 형성함

    ⑤ 입시 스트레스, 여가시간 부족, 놀이공간 부족 → 점점 사이버 공간으로 학생들을 유도함

 

  3) 성문화

    ① 청소년 및 학생들의 성인식, 성행동에 대한 인식

    ② 성인식에 제고가 필요함

    ③ 건전한 이성교제를 하도록 도와야 함

    ④ 현실에 맞춰 실질적인 내용의 성교육이 이루어져야 함

 

  4) 여가문화

    ① 여가문화의 부재 → 소극적, 수동적인 활동이 주를 이루고 있음

    ② 좀 더 적극적이고 활동적인 여가를 즐길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함

 

  5) 언어문화

    ① 학생들이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용어에는 그들만의 독특한 문화가 담겨 있음

    ② 청소년 언어문화의 특성

      - 끊임없이 새로운 은어와 속어를 만들어 냄

      - 줄임말과 신조어를 그들의 언어생활에서 즐겨 쓰고 있음

      - 기성세대와는 차별을 둔 독특하고 비밀스러운 문화를 가지고 있음

    ③ 과다한 스트레스 욕설 사용이 증가함

 

 

 

 

3. 취약 집단 학생들의 종류 및 특성

  1) 빈곤가정학생

    ① 빈곤하지 않은 가정의 학생들보다 다양한 위험 요소에 노출되어 있음

    ② 빈곤으로 인한 사회환경적 위험때문에 발달 과업을 성취하기 어려움

    ③ 다각적 접근이 필요함

 

  2) 가출학생

    ① 부모의 학대, 폭력, 방임, 학교 부적응, 각종 비행 및 범죄에 노출되어

      피해자가 되기도 하고 가해자가 되기도 함

    ② 가출의 원인을 파악하고 초기 가출이 이루어질 때 적극 개입하여 반복을 막아야 함

    ③ 가출에 대해 어떻게 대처하느냐에 따라 달라짐

    ④ 새로운 성장의 기회를 제공하기도 하고 엄청ㄴ난 고통과 상처를 주기도 함

 

  3) 학교폭력 노출학생

    ① 최근 학교폭력사건을 계속 일어나고 그 사안도 점점 심각함

    ② 학교 폭력 피해, 가해 학생들에 대한 전문적인 개입능력을 갖추어야 함

    ③ 학교폭력의 근본적인 대책을 위한 효율적인 정책이 마련되어야 함

 

  4) 다문화 가정 학생

    ① 이주배경 청소년은 지난 10여 년 동안 빠르게 증가하였음

    ② 탈북 청소년, 한민족이주청소년, 국제결혼가정 자녀, 외국인노동자 가정, 중도입국청소년들

    ③ 문화적 배경과 가정의 분위기 등이 한국사회와 다름으로 인해 주류사회에서 소외됨

    ④ 일반 청소년에 비해 성장과정에서 심각한 자아정체성 혼란을 경험하고 있음

    ⑤ 학교현장에서도 이주배경 학생들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다양한 지원체계가 마련되어야 함

 

  5) 정서행동문제 학생

    ① 청소년 자살률

      - 2010년 이후 OECD국가 중 1위

    ② 청소년 인터넷중독률

      - 10.4%로 평균인의 7.7% 넘어서고 있음

    ③ 청소년 우울

      - 청소년의 자살과도 높은 상관관계가 있으므로 조기에 발견하고 지원해야 함

    ④ ADHD

      - 학령기 아동에게서 자주 발견되는 질환

        → 생활에 있어 통제가 어렵고 학습부진이나 공격행동, 분노행동 등이 잦음

      - 학생에 대한 균형된 시각과 발달적 관점을 통한 학생생애주기에 대해 이해해야 함

      - 학생 삶 전반에 대한 맥락을 이해야야함

        → 학생들에 대한 다각적인 지원방안을 모색할 수 있음

 

2021. 3.  서울 송파구  풀또기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