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학교사회복지론

[학교사회복지론 7주] 학교사회복지사의 역할과 실천윤리

by 느티나무숲 2021. 5. 28.

1. 학교사회복지사의 역할 특성

  1) 학교사회복지사의 역할

    ① 시대적 상황, 지역사회, 학교, 학생 → 변화하는 다양한 문제와 욕구에 따라 달라짐

    ② 학교와 학교사회복지사는 역할과 직무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져야 함

 

  2) 학교사회복지사의 특성

    ① 학교 안에서 유일한 사회복지사로 존재하는경우가 많음

    ② 학생을 더욱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학교 내외에 존재하는 타 전문직 및 

        타 기관들과 협력해서 일해야 함

    ③ 사업의 주관 부처와 사업의 취지에 따라 학생들의 복지 업무를 담당하는 

       전담 실무자의 명칭이 다름

    ④ 2차 세팅이라는 여건 상 학교사회복지사가 본연의 역할을 찾아가기까지 다소 시간이 걸릴 수 있음

 

 

 

2. 학교사회복지사의 주요 역할과 직무

  1) 다양한 학자들이 학교사회복지사의 역할을 제시함

    ① 학생 및 가정의 원조자의 역할

    ② 지역사회와 학교의 매개자의 역할

    ③ 교사의 조력자 역할

    ④ 학교내외 전문가 집단의 조정자의 역할

    ⑤ 학생인권 옹호자의 역할

 

2) 역할 수행시 장애요인

    ① 진입 시 장애

      - 장소 및 재원 확보의 문제가 있음

      - 학생-학교-가정-지역사회에 학교사회복지를 설명하고 홍보하는 것에 대한 어려움

      - 학교사회복지의 기반과 인식이 없는 상태에서 사업을 시작하는 문제와 관련된 어려움

 

    ② 전문가 영역의 장애

      - 정체성이 모호함

      - 경험 및 경력을 인정받지 못함

      - 전문가로서의 대우를 받지 못함 

 

    ③ 조직 체계의 장애

      - 학교 체계 내의 학교장 및 일반교사들의 인식, 역할 설정, 행정 및 업무량, 운영상의 문제 등

      - 클라이언트를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 학교와의 협조 관계를 형성하는데 부딪치는 어려움

 

    ④ 외부 체계와의 장애

      - 외부 자원 및 기관들과의협력 관계에서오는 어려움

      

    ⑤ 클라이언트 영역의 장애

      - 클라이언트의 관심 부족

      - 자발적이지 않음

      - 목표달성을 원하지 않음

 

 

 

3. 학교 안의 타 전문직종과 역할 차이 및 업무 협력

  1) 학교사회복지사의 주업무 중 교사, 전문상담사, 특수교사 등과 공유하는 업무도 있고

     학교사회복지사만 담당하는 업무도 있음

  2) 학교사회복지사가 고유의 업무를 유능하게 수행하면서도 학교 내 타전문직과 원활하게 협력해

     학생들을 지원하는 역할을 해야 함

 

 

 

 

4. 윤리적 갈등 상항

  1)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중요시 되는 가치

    ① 인간의 존엄성과 개인의 독특함을 존중함

    ② 자기 결정권에 대한 클라이언트의 권리를 존중함

    ③ 비밀을 보장함

    ④ 기타 가치 

       - 사회복지의 잔여적 대책이 아닌 제도적 대책을 지향함

       - 클라이언트와 전문적 관계를 확립함

 

  2) 가치 추구 과정에서 발생하는 윤리적인 문제

    ① 가치의 상충

      - 2개 또는 그 이상의 경쟁적인 가치와 직면했을 대 발생함

    ② 의무의 상충

      - 기관에 대한 의무와 클라이언트에 대한 의무 사이에서의 갈등이 발생함

    ③ 클라이언트 체계의 다중성

      - 아동학대와 심각한 부부갈등, 구타 등의 문제를 가진 이혼부부의 자녀문제를 다룰 때

        누가 클라이언트인가를 결정하는데 어려움을 가짐

    ④ 결과의 모호성

      - 아동의 어떤 문제를 결정할 때 결정한 것이 아이를 위해 최선인지, 

        5~10년 후에도 최선일 수 있는지 등 장기적인 효과성이 모호할 때 발생함

    ⑤ 힘 · 권력의 불균형

      -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 관계에서 클라이언트는 도움을 구하는 위치이므로 

        전문가에게 의존하는 관계가 됨

      - 클라이언트의 자기 결정, 클라이언트 이익의 우선 등 → 윤리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함

 

 

5. 윤리적 갈등 상황에서의 지침

  1) 윤리적 갈등상황에서 사회복지 전문직으로서의 윤리강령을 따르되

   개인의 생존권, 행복추구권, 자기결정권 등을 우선순위로 고려해야 함

 

  2) 윤리적 의사결정의 과정

    ① 윤리적 이슈를 규정함

    ② 윤리적 결정에 의해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는 개인이나 집단, 조직을 규명함

    ③ 실행 가능한 모든 행동방침 각각의 경우에 포함되는 참여자와 잠재적 이익과 위험 규명

    ④ 윤리강령, 법과 규정, 사회복지실천 이론과 원칙, 개인적 가치 고려

    ⑤ 동료와 전문가와 상담함

    ⑥ 결정을 내린 후 의사결정 증거서류를 첨부함

 

 

2021. 3.  경기 고양시  수호초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