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신건강의 개념
1) 정신건강의 정의
① 정신
- 인간의 의사소통과정에서 흔히 사용하는 어휘의 내면적인 심층의 세계
- 사고하는 작용, 정서적 작용, 감정적 작용, 대인관계 자질까지 포함
② 정신건강
- '정신'과 '건강'의 합성어로 정신적 안녕과 함께 신체적 · 사회적 · 도덕적 안녕상태의 개념이 포괄된 의미
2) 정신건강의 요소
① 자기통제
② 성장추구
③ 자아존중
④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와 혼경에 대한 적응 및 지배
3) 정신건강의 기준
① 건강한 것이 정상
② 이상적인 것이 정상
③ 평균적인 것이 정상
④ 기능수행이 정상
⑤ 변화의 과정이 정상
→ 정상과 이상은 상호 비교되는 것이지 흑과 백으로 정확하게 구분할 수 없음
4) 정신건강에 대한 학자들의 견해
① 프로이트 : 심리성욕발달 발달단계에서 욕구 충족 시 정신적으로 건강하게 됨
② 융 : 성격 전체가 정신으로 개인을 규명하고 그 사회적, 물리적 환경에 적응시키는 지침의 구실
③ 에릭슨 : 정신건강의 척도는 인생의 각 발달단계에서 습득되는 신뢰감의 형태에 따름
④ 올포트 : 정신건강이란 무의식적 힘과 갈등에 의해 통제나 조정, 지배받지 않는 상태
⑤ 설리반 : 성격은 '인간 생활을 특징짓는 주기적인 인간관계의 비교적 지속적인 유형'
⑥ 현상학적 이론가들 : 매슬로우, 로저스
2. 정신건강의 조건
1) 야호다
① 자시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와 성장
② 성장 · 발달 그리고 자기실현
③ 통합력
④ 자율성
⑤ 현실지각능력
⑥ 주변환경의 지배
2) 조대경 등
① 자기존중과 타인존중을 할 줄 아는 자세
② 자신과 타인이 지닌 장점과 한계에 대한 이해와 수용
③ 모든 행동에는 원인과 결과가 있음을 이해
④ 자아실현에 대한 동기 이해
3) 펜튼
① 통일성과 일관성
② 자기에 대한 승인
③ 사회적 승인
④ 사회적 승인에 대한 유지
4) 캐롤
① 자기존중과 타인존중
② 자신의 한계와 타인의 한계에 대한 이해와 수용
③ 모든 행동에는 원인이 있다는 이해
3. 정신건강에 대한 다양한 관점
1) 생물학적 관점
- 인간의 정신과정은 신경계 및 분비선계와 불가분의 관계를 갖고, 두 계통의 활동에 지배를 받음
2) 심리학적 관점
① 프로이트의 정신분석
- 정신결정론
- 지형모델
- 마음구조
- 방어기제
- 발달단계
② 에릭슨의 심리사회이론
- 신뢰 대 불신 (영유아기)
- 자율성 대 수치 (아동기)
- 주도성 대 죄의식 (유희기)
- 근면성대 열등감 (학령기)
- 자아정체감 대 역할혼란 (청소년기 - 사춘기)
- 친밀감 대 고립 (성인 초기)
- 생산성 대 침체 (성인)
- 자아통합 대 절망 (노년기)
③ 융의 분석심리
- 인격성숙
- 무의식의 종류 : 개인무의식, 집단무의식
- 원형(집단무의식) 구성요소
- 정신병리 현상
④ 애착이론
⑤ 대상관계이론
⑥ 반두라의 학습이론
3) 사회 환경적 관점
4. 정신건강에 대한 생태체계론적 관점
1) 브론펜 브레너
① 미시체계 : 가장 인접한 수준의 환경
② 중간체계 : 상호작용 하고 있는 여러 개의 미시체계
③ 거시체계 : 문화, 정치, 사회, 법, 종교, 경제 등과 같은 광범위한 사회적 맥락
④ 외체계 : 개인이 참여하고 있지 않지만 그 개인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체계
'정신건강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신건강론 6주] 성인기의 발달과제과 중년기의 정신건강 (1) | 2021.05.13 |
---|---|
[정신건강론 5주] 청소년기 (0) | 2021.04.22 |
[정신건강론 4주] 아동기 발달 (0) | 2021.04.08 |
[정신건강론 3주] 영 유아기 (0) | 2021.03.24 |
[정신건강론 2주] 스트레스 (0) | 2021.03.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