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학교사회복지의 필요성
1) 학생 개인 차원, 가정적 차원, 학교 교육적 차원, 사회 환경적 차원으로 나뉨
2) 다양한 교육환경에서 발생하는 문제와 한계 속에 교육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도입함
3) 학생들이 건강한 학교 생활을 하고 자신의 잠재력을 개발하여
행복한 삶은 영위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함임
2. 학교사회복지 개념
1) 펄만의 6P를 통한 학교사회복지의 정의
① 장소 (Place) : 학교체계 내에서
② 전문가 (Professional) : 전문 능력과 자격을 갖춘 학교 사회복지사가
③ 사람 (Person) : 학교, 교사, 학부모, 지역사회의
④ 문제 (Problem) : 심리 · 사회적 문제와 가족, 학교, 지역사회의
역기능적 상호작용과 유발조건을 예방하고 해결하기 위하여
⑤ 제공물 (Provisions) : 사회복지서비스를
⑥ 과정 (Process) :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과정을 통해 제공하는 활동
3. 학교사회복지 목적
1) 가정-학교-지역사회간 연계를 통해 학교 교육의 목적을 달성하도록 지원함
2) 학생들의 복지를 도모함
3) 최적의 교육환경을 제공함
4. 학교사회복지 실천대상
1) 학교사회복지실천 초기
- 문제가 있는 학생을 주 대상으로 치료적인 개입에 초점을 맞춤
2) 오늘날의 학교사회복지 실천대상
① 다양한 사회문제가 증대하고 보편주의 인식이 확대됨
②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에 대한 지원 및 모든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예방활동이 강화됨
5. 학교사회복지 실천유형
1) 학교사회복지 실천유형
① 서비스의 제공주체가 학교 기반인지 지역기반인지,
학교사회복지사의 활동 중심이 학교중심인지 지역사회 중심인지에 따라 나눌 수 있음
② 학교기반 학교중심모형
③ 지역사회기반 학교중심모형
④ 지역사회기반 지역사회모형
⑤ 센터기반 순회운영 모형 등
2) 학교사회복지사가 학교에 상주하는 대표적인 형태
①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② 지자체 지원 학교사회복지사업 등
'학교사회복지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교복지론 6주] 학교사회복지 관련법과 정책 (0) | 2021.05.14 |
---|---|
[학교사회복지론 5주] 학교체계에 대한 이해 (0) | 2021.04.23 |
[학교사회복지론 4주] 학생에 대한 이해 02 (0) | 2021.04.09 |
[학교사회복지론 3주] 학생에 대한 이해 01 (0) | 2021.03.25 |
[학교사회복지론 2주] 학교사회복지의 역사와 현황 (0) | 2021.03.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