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가계도 (Genogram)
1) 가계도의 개념과 특징
① 3세대 이상에 걸친 가족성원에 관한 정보와 그들 간의 관계를 도표화함
②보웬의 가족치료모델에서 많이 사용됨
③ 일반적인 가족 대상 사회복지실천에서도 사용됨
2) 가계도의 유용성
① 복잡한 가족유형의 형태를 한 눈에 볼 수 있음
② 가족에 관한 구조적, 관계적, 기능적 정보를 제공함
③ 가족이 경험하고 있는 반복되는 유형들을 확인할 수 있음
④ 가족 스스로가 공간과 시간을 넘나들면서 다세대적 맥락에서 가족의 정서과정을
살펴보면서 현재의 가족문제를 볼 수 있게 함
⑤ 가계도를 그리는 과정은 가족치료자와 가족 간에 라포를 형성할 기회를 제공해줌
⑥ 가계도는 개입을 계획하기 전에 모든 의미 있는 사람들을 포함하도록 확실하게 도와줌
⑦ 세부적인 가족정보가 필요할 때 특이 유용함
3) 가계도를 통해 알 수 있는 정보
① 가족구성원에 대한 상세 정보 : 성별, 나이, 출생 및 사망시기, 직업, 종교 등
② 사회적 정보 : 인종집단, 사회계층
③ 각 구성원과의 관계 : 단절, 융합(융해), 밀착
④ 가족관계 : 혈연적 관계, 인위적 관계
⑤ 가족의 역할 및 유형
4) 가계도 작성법
① 보통 여성은 원, 남성은 네모로 표시
② 동일 세대의 가족구성원은 수평선으로 그림
③ 각 개인은 현재 그 가정에서 살고 있는지, 생존자인지와 무관하게 가계도상에서
명확히 필요한 지점에 표시함
④ 가족구성원의 이름과 연령은 메모나 원 안에 표기함
⑤ 가족구성원이 사망하였다면, 사망연도, 사망연령, 사망원인을 기록함
5) 가계도 분석
① 가족의 구성과 구조
② 가족의 생애주기
③ 세대 간 반복된 유형
④ 가족성원의 역할과 기능
2. 생태도 (Ecomap)
1) 생태도의 개념과 특징
① 1970년대 앤 하트만이 개발
② 개인 및 가족의 사회적 맥락과 개인 및 가족을 둘러싼 사회체계들가의 상호작용 상태를
하나의 그림으로 나타낸 사정도구
2) 표시내용
① 개인 또는 가족의 삶의 공간에 존재하는 생태체계들
② 개인 및 가족과 그들 체계와의 관계
③ 개인 및 가족을 둘러싼 자원 또는 에너지의 유입과 유출
3) 생태도의 활용
① 개입 초기에 가족을 사정하는 도구로 활용할 수 있음
② 변화를 확인하는 도구로 반복해서 사용할 수 있음 → 연속생태지도
4) 생태도의 유용성
① 환경 속의 인간에 초점을 두기 때문에 클라이언트를 생태학적 관점에서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됨
② 종이와 필기도구만 있으면 쉽게 작성될 수 있음
③ 가족생활 및 가족이 집단, 단체, 조직, 다른 가족, 개인들과 맺는 관계의 본질에
대하여 전체적인 시각 또는 생태학적 시각을 가지도록 도움
④ 결혼 및 가족 상담, 입양과 위탁가정 연구 등의 다양한 상황에도 활용됨
⑤ 전통적인 사회력과 사례기록을 보완하는 역할을 함
⑥ 클라이언트와 실천가 모두에게 클라이언트의 문데에 대한 통찰력을 얻도록 해줌
⑦ 건설적인 변화를 더 잘 모색할 수 있도록 해줌
3. 사회적 관계망 표 (Social Network Grid)
1) 사회적 관계망 표란
① 개인이나 가족의 사회적 관계망과 사회적 지지를 사정하는 도구
2) 사회적 관계망 표에서 알 수 있는 정보
① 가족의 사회적 관계망에서 중요한 인물
② 가족이 지지를 받는 생활영역
③ 사회적 관계망에서 지지를 제공하는 각각의 지지의 특정 유형
④ 제공되는 지지의 정도의 중요도
⑤ 지지의 방향 : 상호적 또는 일방적
⑥ 개인적 친밀감 정도
⑦ 접촉 빈도
⑧ 관계의 기간 : 알고 지낸 기간
4. 생활력도표 (Life History Grid)
1) 생활력도표의 개념과 특징
① 삶의 중요한 사건이나 문제를 시기별로 표로 정리한 사정도구
② 클라이언트나 가족이 겪고있는 문제의 발생시점과 촉발사건 등을 파악할 수 있음
③ 사건 간에 보이는 양상이나 관계를 파악할 수 있음
④ 클라이언트의 생애 동안 발생한 사건이나 문제의 발전과정을 알 수 있음
⑤ 표를 이용함
⑥ 생태도, 가계도는 원이나 선, 화살표 등 기호를 사용함
2) 생활력도표의 활용
① 특정발달단계의 생활 경험을 이해하는데 유용함
② 아동과 청소년 대상의 활동에서 유용하게 사용됨
③ 가용의 다양한 시기의 자료를 조직화하여 표현함
④ 가족구성원의 삶의 중요한 사건을 시계열적으로 나열함
5. 맥마스터모델의 가족사정척도 (Family Assessment Device, FAD)
1) 맥마스터모델의 개념
① 캐나다의 맥마스터대학 정신과의 엡스타인 등이 가족의 기능수행 사정을 위해
개발한 모델
② 가족기능 사정에 유용한 기준을 제시함
③ 원버전 : 53문항
2) 가족기능의 7개 범주
① 문제해결
- 가족이 정서적 혹은 육체적 안녕 혹은 기능수행 단위로서 가족의 생존에 대한
위협에 어떻게 대처하는가와 관련됨
② 의사소통
- 언어적 의사소통과 비언어적 의사소통 둘 다 중요함
③ 역할
- 가족은 매일 여러 종류의 압력, 과제, 의무를 접하게 됨
④ 정서적 반응성
- 주어진 자극에 따라 적절한 내용과 적절한 양의 감정으로 반응할 수 있는 능력
⑤ 정서적 관여
- 가족구성원들이 서로의 활동과 관심에 대해 정서적으로 관여하고 있는 정도
⑥ 행동통제
- 가족이 충격을 이겨내는 방식
- 표준의 행동을 유지하는 방식
- 위협적인 상황에 대처하는 방식
⑦ 가족의 전반적 기능
- 가족의 정신건강 및 병리적 측면을 총체적으로 측정함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복지실천기술론 12주] 가족대상 실천기술 02 (0) | 2021.09.14 |
---|---|
[사회복지실천기술론 11주] 가족대상 실천기술 01 (0) | 2021.08.03 |
[사회복지실천기술론 9주] 가족사정 (0) | 2021.06.24 |
[사회복지실천기술론 7주] 해결중심모델 (0) | 2021.06.01 |
[사회복지실천기술론 6주] 인지행동모델 (0) | 2021.05.20 |
댓글